KCI등재
소년화자 서사에 나타난 음식의문학적 재현과 의미 -『마당 깊은 집』, 『장난감 도시』,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 The Literary Reproduction and Meanings of Foodin Narratives by Boy Narrators :Focused on The House with a Deep Yard, A Toy City, A Fisherman Does not Snap the Ree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73(2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는 『마당 깊은 집』, 『장난감 도시』,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에 나타난 ‘음식’의 문학적 재현을 통하여 한국전쟁 직후, 정신적․물질적 결핍의 고통이 심했던 주인공 소년들의 성장의 의미를 살펴본 글이다. 세 작품은 공통적으로 소년 화자를 내세워 세상의 이치, 또는 삶의 부조화를 보여주면서 소년의 성장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그려내고 있다. 이때 소년들의 의식을 지배하는 대상은 ‘음식’으로서 이는 빈곤의 일상을 구체화하여 소년의 꿈과 희망의 성취와 좌절을 보여주는 상징물이 되고 있다.
『마당 깊은 집』의 주인공 ‘나’ 길남은 억척스러운 삶의 자세를 지닌 어머니 밑에서 장자로서의 책임감을 지니도록 교육받은 소년이다. 주인공에게 ‘마당 깊은 집’ 생활은 굶주림의 시절로 회상되며, 그를 가장 곤경에 빠뜨린 것은 모두 음식과 관련 있다. 주인집의 음식을 훔쳐먹은 일, 장정의 밥먹는 모습을 구경하기, 크리스마스 파티(음식)를 구경하는 등의 사건에서 ‘음식’에 대한 욕망은 그의 신체적 허기를 드러내는 구체성으로 작용하거나 ‘밥’이 지닌 경건함을 깨닫게 한다.
『장난감 도시』는 고향에서 내침을 당한 ‘나’(윤)의 가족이 열악한 주거 환경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는 판자촌 생활에서의 부적응을 담고 있다. 판자촌은 한국전쟁의 참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나’의 가족은 이곳에서 서서히 가족의 해체에 직면한다. 이때 정상적인 섭식의 대상이라 할 수 없는 조악한 음식들은 주인공 ‘나’ 에게 고향의 상실감, 가족의 해체, 애정결핍 등을 구체화하는 상징물이다. 음식은 ‘나’의 무의식 속에 있는 고향의 근원적 사랑과 혈육의 사랑이 충만했던 시절로 회귀할 수 없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는 시골 소읍의 장터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홀어머니 아래 굶주림에 시달리는 가난한 형제의 이야기가 중심이다. 장터라는 공간은 ‘나’의 성향을 탐색자로 형성시킨 면이 있다. 이 작품에 나타난 음식문화는 장터와 관련 있다. 양조장의 ‘고두밥’이 대표적이다. ‘나’의 형제가 양조장의 일꾼 장석도의 ‘힘’에 대한 선망, 이발관의 거울을 통해 ‘미로와 전도’의 의미를 파악한 것 등은 어른들의 세계를 발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미다락의 지독에 가득 담겨 있는 쌀과 곡식의 발견은 두 형제를 결핍의 세계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 새로운 경험이 된다.
세 작품에 나타난 음식은 생명유지의 기본임과 동시에 인간다운 삶의 의미를 드러내는 문학적 질료가 된다. 『마당 깊은 집』에서는 음식을 통해 장자로 길들여지는 소년과 가족의 유대를 보여주며, 『장난감 도시』에서는 음식을 통해 고향상실, 가족의 해체를 체험하는 소년의 비애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에 나타난 음식은 세상의 이치를 깨닫게 되는 소년의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growth among boy protagonists that suffered the severe pain of mental and material deficiency right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rough the literary reproduction of “food” in The House with a Sunken Courtyard, A Toy City, and A Fisherman Does not Snap the Reed. These three works show the ways that the growth of a boy is embodied by depicting the way of the world or the disharmony of life through a boy narrator. Here, “food” is the object that governs the consciousness of boys, specifying their daily life in poverty and thus becoming a symbol of the achievement and frustration of their dreams and hopes.
In The House with a Sunken Courtyard, the main character “I” or Gil-nam is taught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the eldest son under her mother with a tough life attitude. Life at the “house with a sunken courtyard” reminds him of the days of starving. All the episodes that put him through the biggest hardship have something to do with food. In episodes where he steals food from the landlord’s place, watches a strong young man having a meal, and watches a Christmas party(food), “food” is a straightforward expression of his bodily hunger and element to awake him to the reverent nature of “meals” after labor.
A Toy City describes the maladjustment of “my”(Yun’s) family in a shantytown with its inferior living environment exposed as it is after they are cast away from their hometown. “My” family gradually faces their deconstruction in a shantytown. Foods that are far from normal objects of food intakes become media to make the loss of the hometown, deconstruction of family, and lack of affection concrete to the main character “I”. In “my” unconsciousness, I realize that the fundamental love of his hometown and the love of his family will never be possible again through food.
A Fisherman Does not Snap the Reed is set in a marketplace of a small town in the country. The work mainly tells the stories of poor brothers suffering hunger under a single mother. The space of a marketplace turns “my” disposition into that of an investigator. In this novel, the food culture has something to do with a marketplace. One good example is “hard-boiled rice” at a brewery. “I” and my brother discover the world of adults through their yearning for the “strength” of a brewery worker named Jang Seok-do and the meanings of “maze and propagation” via the mirror at the barber shop. The jars full of rice and grain in the attic are, in particular, new experiences for the brothers to escape from the world of deficiency.
In these three works, food is the basis of life maintenance and, at the same time, literary material to reveal the meanings of human life. The House with a Sunken Courtyard shows ties between a boy trained to serve as the eldest son through food and his family. A Toy City depicts the sorrow of a boy experiencing the loss of hometown and the deconstruction of family through food. Finally, food shows the growth of a boy realizing the way of the world in A Fisherman Does not Snap the Ree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11-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 KCI후보 |
2009-11-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784 | 0.3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