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도시 내 쇠퇴구역 특성을 통한 쇠퇴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Study on Determinating Spatial Boundary of Urban Decline by Characteristics of Deteriorated Districts in Daejeon Using Census Data

    • 저자

      박윤재

    • 발행사항

      대전 :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한남대학교 대학원: 정치및지역발전학과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52.1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vi, 158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순오
      참고문헌: p. 130-135

    • UCI식별코드

      I804:25013-200000215926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current 『Special Act on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has the problem which includes the non-declining area with the lack of substantiation comparing it to the existing project, selecting the Urban Declining Area by measuring it in the Administrative Division Based on decrease of population and business and ratio of old buildings. The spatial scale is too wide for the existing research to measure the decline within the cities with regard to selecting the Urban Declining Area, and it lacks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Declining area spatial interaction. In this regards, aimed at Daejeon city, this study draws the ran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line in the city.
    By applying the current 『Special Act on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compares the declining area measured by Administrative Division with the declining block, which indicates the smaller areal unit, measured by the census output area.
    61 divisions out of 79 Administrative divisions are turned out to be declining area, which occupies 58.3% (314.27㎢) of whole Daejeon city, the area shows population decrease and decline of old building ratio. On the other hand, 1,769 blocks (57.5%) out of 3,074 blocks are turned out to be declining, this occupies 66.22% of whole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a, which is 357.16㎢, Major decline show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 Such a difference between two 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whereas there is 60.6㎢ of declining area in Yuseong-gu, known as non declining area, 24.97㎢, 7.77㎢, 4.82㎢ of Jung-gu, Seo-gu, and Daedeok-gu respectively, known as declining area, are turned out to be non declining blocks. Therefore, as the declining block provides more detailed information of decline than the declining area, the declining block is utilized as the areal unit for the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cline in Daejeon, its categorizing, and its scale, it comes down to 3 categories, each category is shown on two towns – Dunsan and Daejeon station area, which are the new town and old town respectively.
    First of all,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decline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turned out to be commercial business area, new town residential area, and old town residential area. the commercial business area has high ratio of the buildings for commercial business purpose with the low ratio of residential purpose buildings, having high quantity of business which provides City Service. New town residential area indicates the apartment area which has high population aging between 0-60 years old with high quantity of two generational household. Old town residential area has high quantity of the detached house with high deterioration, and has high population of one generational household aging over 60 years old. Consequently, as the result of categorizing and ranging through G-statistics(Getis-ord’s ) and hot spot analysis, the declining blocks occupy 43.92㎢, 8.1% of the whole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a, surrounding Dunsan, it comes into two areas, new town residential area and the old town residential area which are both combined with commercial business area. This proves that the existing declining area range based on administrative division unit over estimates the decline. Furthermore, in the way that the population there was grouped into two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lining block, the estimation of the declining area range was decided by the development methods taken by the time when new town and old town were constructed.
    In order to cope with it, Daejeon is carrying forward the change through usage conversion of the land from the certain declining area, however, still set the goal based on the development, planning to develop suburban area. In this situation,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area has been extensively designated in Daejeon since 2016. In addition, through constructing new town in a large scale has been proceeded 3 times in Daejeon since 1990, massive physically deteriorated area is expected to be occurred besides the current physically deteriorated area.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ed area from becoming the declining area, the positive support is required to be considered for aging in place in order to control the movement in dwelling with the control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suburban area.
    Last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first, there is extensive decline in urban districts in Daejeon, the aspect of decline has mutu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new downtown and old downtow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of the development method was reflected by the time the area was constructe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new town Dunsan could be helpful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decline of the initial stage of new town (in 1986) built in quasi period and the second stage of the new town (in 2006) expected to show deterioration henceforth. Second, the declining area which uses the administrative division as the spatial measure and the declining block which uses census output area as the spatial measure, it is proven that the declining blocks provide the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decline through the comparison of both measure, the spatial measure of small scale is the optimized analysis measure in order to search the decline of the inside of the city. Third, G-statistics based o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d hot spot analysis are optimized to categorize and set the range of the spatial measure of small scal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research on multi decline index generally set the spatial measure of the analysis to the level of administrative division such as state, province, and county, each analyzed space is assumed and categorized as the independent unit without geographical connection, another way to categorize is necessary for small scale of space.
    In this study, the groups divided by the characteristics of decline in Daejeon are shown separately into two, which are new downtown Dunsan and the surroundings of Daejeon station, old downtown, both downtowns have been functioned as the pivot of the ci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limited as the additional analysis is not conducted even though it is required to analyze whether the impact which each town has is decreased or increased.

    더보기

    현행 『도시재생법』은 인구·사업체의 감소와 노후건축물비율을 기준으로 쇠퇴지역을 행정동 단위로 측정하여 쇠퇴지역을 선정함으로써 기존의 정비사업 대비 장소적 구체성 부족과 함께 비쇠퇴 공간이 함께 포함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기존의 연구 역시 쇠퇴지역 선정에 있어 도시 내 쇠퇴를 측정하기에는 공간적 범위가 넓고, 공간적 상호작용과 쇠퇴지역의 특성 반영이 부족해 보인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대전을 대상으로 소규모 공간단위인 집계구를 활용하여 도시 내부의 쇠퇴 특성별 범위를 도출하였다.
    현재, 『도시재생법』의 쇠퇴기준을 적용하여 행정동별 쇠퇴지역과 이보다 작은 공간적 단위인 집계구별 쇠퇴구역의 쇠퇴범위를 비교해 보았다. 쇠퇴지역은 행정동 79개 동 중 77.2%인 61개 동이 쇠퇴지역으로 나타나 대전 전체면적의 58.3%인 314.27㎢에 해당하며, 인구감소와 노후건축물비율의 쇠퇴가 주로 나타났다. 반면 쇠퇴구역은 전체 3,074개 구역 중 57.5%인 1,769개 구역이 쇠퇴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전 전체 면적의 66.22%인 357.16㎢에 해당하며, 주된 쇠퇴는 사업체 감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자간의 차이는 비쇠퇴지역인 유성구에서 60.6㎢의 쇠퇴구역이 나타난 반면 쇠퇴지역인 중구, 서구, 대덕구에서 각각 24.97㎢, 7.77㎢, 4.82㎢이 비쇠퇴구역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쇠퇴구역이 쇠퇴지역에 비해 더 상세한 쇠퇴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의 공간단위로 활용하였다.
    대전의 쇠퇴 특성과 쇠퇴 특성별 유형화와 범위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유형으로 압축되며, 각각의 특성은 신도심인 둔산과 원도심인 대전역 주변에 양분되어 나타난다. 먼저 주성분 분석에 의한 쇠퇴의 주요 특성은 업무상업형 주거구역, 신시가지형 주거구역, 구시가지형 주거구역으로 나타났다. 업무상업형 주거구역은 상업업무용 건물비율이 높고 주거용 건물비율이 낮으면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가 많은 곳을 의미한다. 신시가지형 주거구역은 2세대 가구가 많고 0~60세 미만의 인구가 많은 아파트 주거지를 의미하며, 구시가지형 주거지역은 60세 이상의 인구, 1세대 가구, 단독주택이 많으면서 건축물의 노후도가 높은 주거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G통계량(Getis-ord’s )과 핫스팟(hot spot) 분석으로 유형화와 범위를 산출한 결과, 쇠퇴구역은 43.92㎢로 대전시 전체 행정구역의 8.1%이며, 신도심 둔산을 중심으로 업무상업형 주거구역과 결합한 신시가지형 주거구역, 원도심을 중심으로 업무상업형 주거구역과 결합한 구시가지형 주거구역으로 양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행정동 단위의 쇠퇴범위 설정이 쇠퇴를 과대하게 산정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아울러 쇠퇴구역 특성에 따른 군집이 양분되고 있다는 점에서 신시가지와 구시가지 조성 당시 취했던 개발 방식에 따라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항하여 대전은 일부 쇠퇴지역에서 토지의 용도전환을 통해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여전히 성장을 전제로 한 목표를 설정하고 교외지역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2016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대전시 내부에 광범위하게 지정된 상태다. 게다가 대전에서 추진된 신시가지 조성은 1990년대부터 세 차례에 걸쳐 대규모로 이루어지면서 현재의 물리적 노후지역 외에 대규모 물리적 노후지역이 추가적으로 발생 할 상황이다. 따라서 향후 발생할 노후지역이 쇠퇴지역으로 전락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교외지역의 개발 시기 조절과 함께 주거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기존의 거주 계층이 고령화되어도 현재의 거주지에서 계속하여 살 수 있는 지역(aging in place)을 만드는 적극적인 도시관리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은 시사점은 첫째, 대전의 시가지에 광범위한 쇠퇴가 나타나며 서로 다른 성격을 갖는 쇠퇴 양상이 신도심과 원도심에 나타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해당 지역 조성 당시의 개발방식 차이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도심 둔산에 나타난 특성의 경우 유사한 시기에 건설된 1기 신도시(1989년)나 향후 노후화가 나타날 2기 신도시(2006년)에 대한 쇠퇴 특성 설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행정동을 공간단위로 사용하는 쇠퇴지역과 집계구를 공단 단위로 사용하는 쇠퇴구역 양 공간단위 비교를 통해 쇠퇴구역이 쇠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쇠퇴 측정시 소규모 공간단위는 도시 내부의 쇠퇴를 탐색하는데 적합한 분석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기초한 G통계량과 핫스팟 분석이 소규모 공간단위의 유형화와 범위 설정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합쇠퇴지수에 관한 연구는 분석 공간단위를 시·군·구나 행정동 수준으로 설정하고 각 분석 공간을 지리적 연관성 없이 독립된 단위로 가정하여 유형화하므로 소규모 공간에서는 다른 유형화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대전의 쇠퇴 특성별 군집이 신도심 둔산, 원도심 대전역 주변으로 양분된 분포로 나타나 두 도심이 현재까지 중심지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도심이 갖는 영향력이 축소되거나 증가하였는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루지 못한 점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더보기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제2절 연구 범위 및 내용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제2절 연구 범위 및 내용 4
    • 1. 연구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5
    • 3. 연구의 내용 7
    • 제2장 문헌검토
    • 제1절 도시쇠퇴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0
    • 1. 도시의 쇠퇴 경향 도출에 관한 연구 10
    • 2. 도시 내부의 쇠퇴지역을 탐색하는 연구 12
    • 3. 선행연구의 시사점 14
    • 제2절 도시의 성장과 쇠퇴에 관한 이론적 검토 16
    • 1. 도시의 성장과 쇠퇴의 개념 16
    • 2. 도시의 성장과 쇠퇴 이론 17
    • 제3절 쇠퇴지역의 형성 20
    • 1. 쇠퇴지역의 형성 배경 20
    • 2. 쇠퇴지역의 형성과 주거이동 21
    • 제4절 쇠퇴의 현상 23
    • 1. 일반적인 쇠퇴 현상 23
    • 2. 국내 쇠퇴 현상 24
    • 제5절 지표선정 26
    • 1. 선행연구 분석변수 검토 26
    • 2. 최종 지표 선정 28
    • 제3장 도시재생제도 검토
    • 제1절 도시재생제도의 도입배경 31
    • 제2절 사업절차 및 내용 34
    • 제3절 도시재활성화지역 지정조건 38
    • 제4장 대전광역시 쇠퇴현황 분석
    • 제1절 대전의 쇠퇴현황 분석 39
    • 1. 인구 39
    • 2. 경제산업 45
    • 3. 지가 47
    • 4. 물리환경 54
    • 5. 대전의 쇠퇴현황 종합 57
    • 제2절 대전광역시 쇠퇴지역 도출 58
    • 1. 쇠퇴지역 도출 기준 58
    • 2. 쇠퇴지역 도출 결과 59
    • 제3절 대전광역시 쇠퇴구역 도출 64
    • 1. 쇠퇴구역 도출 기준 64
    • 2. 쇠퇴구역 도출 결과 64
    • 3. 대전광역시 쇠퇴지역과 쇠퇴구역 비교 67
    • 제4절 소결 72
    • 제5장 대전광역시 쇠퇴구역 분석
    • 제1절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 73
    • 1. 개요 73
    • 2. 분석방법 74
    • 제2절 대전광역시 쇠퇴구역 특성 분석 80
    • 1. 분석개요 80
    • 2. 분석결과 82
    • 3. 대전의 쇠퇴구역 특성 84
    • 제3절 대전의 쇠퇴구역 특성별 유형화 및 범위 설정 91
    • 제4절 소결 105
    • 제6장 도시쇠퇴와 정책적 대응방안
    • 제1절 도시기본계획 106
    • 제2절 도시정비계획 110
    • 제3절 도시재생전략계획 117
    • 제4절 도시쇠퇴의 정책적 대응방안 120
    • 제7장 결론
    • 제1절 연구의 요약 125
    •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27
    • 참고문헌 130
    • 연구요약 136
    • 1. 연구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5
    • 3. 연구의 내용 7
    • 제2장 문헌검토
    • 제1절 도시쇠퇴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0
    • 1. 도시의 쇠퇴 경향 도출에 관한 연구 10
    • 2. 도시 내부의 쇠퇴지역을 탐색하는 연구 12
    • 3. 선행연구의 시사점 14
    • 제2절 도시의 성장과 쇠퇴에 관한 이론적 검토 16
    • 1. 도시의 성장과 쇠퇴의 개념 16
    • 2. 도시의 성장과 쇠퇴 이론 17
    • 제3절 쇠퇴지역의 형성 20
    • 1. 쇠퇴지역의 형성 배경 20
    • 2. 쇠퇴지역의 형성과 주거이동 21
    • 제4절 쇠퇴의 현상 23
    • 1. 일반적인 쇠퇴 현상 23
    • 2. 국내 쇠퇴 현상 24
    • 제5절 지표선정 26
    • 1. 선행연구 분석변수 검토 26
    • 2. 최종 지표 선정 28
    • 제3장 도시재생제도 검토
    • 제1절 도시재생제도의 도입배경 31
    • 제2절 사업절차 및 내용 34
    • 제3절 도시재활성화지역 지정조건 38
    • 제4장 대전광역시 쇠퇴현황 분석
    • 제1절 대전의 쇠퇴현황 분석 39
    • 1. 인구 39
    • 2. 경제산업 45
    • 3. 지가 47
    • 4. 물리환경 54
    • 5. 대전의 쇠퇴현황 종합 57
    • 제2절 대전광역시 쇠퇴지역 도출 58
    • 1. 쇠퇴지역 도출 기준 58
    • 2. 쇠퇴지역 도출 결과 59
    • 제3절 대전광역시 쇠퇴구역 도출 64
    • 1. 쇠퇴구역 도출 기준 64
    • 2. 쇠퇴구역 도출 결과 64
    • 3. 대전광역시 쇠퇴지역과 쇠퇴구역 비교 67
    • 제4절 소결 72
    • 제5장 대전광역시 쇠퇴구역 분석
    • 제1절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 73
    • 1. 개요 73
    • 2. 분석방법 74
    • 제2절 대전광역시 쇠퇴구역 특성 분석 80
    • 1. 분석개요 80
    • 2. 분석결과 82
    • 3. 대전의 쇠퇴구역 특성 84
    • 제3절 대전의 쇠퇴구역 특성별 유형화 및 범위 설정 91
    • 제4절 소결 105
    • 제6장 도시쇠퇴와 정책적 대응방안
    • 제1절 도시기본계획 106
    • 제2절 도시정비계획 110
    • 제3절 도시재생전략계획 117
    • 제4절 도시쇠퇴의 정책적 대응방안 120
    • 제7장 결론
    • 제1절 연구의 요약 125
    •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27
    • 참고문헌 130
    • 연구요약 136
    더보기
    • 1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개발론』", 보성각: 서울, 2008
    • 2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서울, 1991
    • 3 남영우, "「도시공간구조론」", 법문사: 파주, 2007
    • 4 정환용, "『도시계획학원론』", 박영사: 서울, 2006
    • 5 대전광역시,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 대전광역시, 2013
    • 6 김광중,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 리학회지13(2), pp.43-58, 2010
    • 7 이주형, "『21세기 도시재생 패러다임』", 보성각: 서울, 2010
    • 8 오은주, 이희연, 이소영,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 9 심재헌, 이희연, "『GIS 지리정보학: 이론과 실습』", 법문사: 파주, 2014
    • 10 백기영, 황희연, 변병설, "『도시생태학과 도시공간구조』", 보성각: 서울, 2002
    • 11 노승철, 이희연, 심재헌, "도시내부의 쇠퇴실태와 공간패턴", 한국도시지 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pp.13-26, 2010
    • 12 정환용, "한국의 도시성장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 개발학회지 15(2), pp.205-228, 2003
    • 13 조윤애, "“도시 쇠퇴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국 토계획 49(7), pp.521-547, 2014
    • 14 국토해양부,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여행』", 국토해양부, 2010
    • 15 도시재생사업단, "『한국 도시쇠퇴의 실태 및 유형화』", 도시재생사업단, 2010
    • 16 남영우, "“도심재개발을 위한 연계정책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 계획 33(6), pp.49-65, 1998
    • 17 이범현, "“지방중소도시 쇠퇴 현상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18 Hall, T., "『도시연구: 현대도시의 변화와 정책』", 유환종 외7 옮김, 푸른길: 서울, 2011
    • 19 대전광역시, "『2025년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대전광역시, 2016
    • 20 양은정, 황명화, 한선희, 이경주, "「공간통계 분석의 이해와 활용을 위한 첫걸음」", 국토연구원: 안양, 2015
    • 21 McCann, P., "『공간적 접근법을 이용한 도시 및 지역경제학』", 최병호 외 2 옮김, 시그마익스프레스: 서울, 2006
    • 22 김호철, "“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주택재개발 개선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개발학회, 지역사회개발연구 24(1), pp.173~189, 1999
    • 23 대전광역시, "『2020 대전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변경)』", 대전광역시, 2015
    • 24 강기철, 김흥관, "“도시재생을 위한 부산시의 재생지역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 pp.167-177, 2008
    • 25 송상열, "비성장형도시의 쇠퇴원인분석과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26 김감영, 박지혜, "“GIS와 공간군집기법을 활용한 잠재적 도시재생 구역 식 별”", 한국도시지리학,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2), pp.67-80, 2012
    • 27 김광중, "3, , “도시 내 지구차원의 쇠퇴실태와 양상”,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pp.27-42, 2010
    • 28 변창흠, "“지속가능성과 주거안정을 위한 서울시 도시재정비사업의 방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325, pp.6~10, 2009
    • 29 송기백,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 분석 및 제도개선 방 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지 계획계 26(1), pp.307~314, 2010
    • 30 하성규, "“커뮤니티 주도적 재개발의 새로운 접근: 영국의 근린 재개발전 략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9(2), 한국도시행정학회, pp.25~47, 2006
    • 31 Greene, R. P., "Pick. J. B., , 『도시의 탐색: 도시공간이론과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신정엽 외7 옮김", 시그마프레스: 서울, 2006
    • 32 김윤수, "도시분석을 위한 원격탐사자료 활용방안 연구: 대전광역시 도시 확장 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33 박경환, "“The Urban Spaces and Politics of Hybridity : Repoliticizing the Depoliticized Ethnicity in Los Angeles Koreatown”",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40(5), pp.473-491, 2005
    • 34 서준교, "“도시쇠퇴와 수축의 원인과 대응전략 연구: 리버풀과 라이프치히 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1), pp.97-115, 2014
    • 35 문주열, 조준혁, 이영성, "“쇠퇴하는 곳은 계속 쇠퇴하고, 번성하는 곳은 계 속 번성하는가?: 도시쇠퇴의 관성과 대응”", 한국지역학회, 지역연구 32(1), pp.51-66, 2016
    • 36 이광국, 임정민, "“선진국의 도시재생 흐름 고찰과 시사점: 미국, 영국, 프 랑스, 독일, 일본의 법제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 계획 48(6), pp.521-547, 2013
    • 37 전원식, "“퍼지추론을 이용한 도시쇠퇴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2000년 이후 청주시 집계구 통계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