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安珦의 生涯와 行蹟 = The Life and Career of An Hyang(安珦)
저자
장동익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9-222(34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소장기관
This essay try to analyze the life and career of An Hyang(安珦) who was a government official of Goryeo dynasty in the thirteenth century when Goryeo dynasty was invaded by Yuan empire. And I will recount him with new materials.
After passed in Yebu(禮部), he took an active part in Eosadae(御史臺), Jungseomunhaseong(中書門下省), and so on as a leading government official. And when Goryeo became immediately with Yuan, he was appointed the prime minister through an important office of Zhengdongxingsheng(征東行省). However, he held not real power of government because of domination of the king's close relatives.
There is so difficult to examine about his academic standard or literary ability because literature collections of An Hyang not exist. But we see that he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in Goryeo dynasty. Also we see his contribution of knowledge development through his effort to teaching, reconstruction national academy for studying Korean classics, establishment of Seomhakjeon(贍學錢) and book purchasing in china.
There are two opinions-affirmation and negation about Neo- 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An Hyang. Examining thoroughly about reference material, However, we can not accept negative view. And books of Neo-Confucianism in South Sung Empire were imported to Goryeo by An Hyang. For these reason, it has no problem that An Hyang introduced Neo-Confucianism in Goryeo and found Neo- Confucianism in Goryeo. An Hyang had high position to introduce Neo-Confucianism. But it was not distinguished his primary role at that time, in 1319(king Chungsuk 6) when he was performed a religious service in Confucian shrine, it was presented the opposing voices to him.
In short, when Goryeo dynasty was settled down a prince's nation of Yuan empire, he was a civil service with actuality that recognizing political reality, to plan home administration and to stir learning were the best way to preserve in Goryeo dynasty.
이 논문은 고려왕조가 대원몽고국의 무력에 압도되어 제후국으로 전락하였던 13세기의 재상 안향의 생애와 행적을 재조명하기 위해 새로운 자료를 追加하여 정리한 것이다.
안향은 禮部試에 급제한 후 文翰官署를 거쳐 국왕의 측근직인 내시원에 들어갔다가 감찰어사를 거쳐 외직인 尙州判官에 임명되었다. 이후 어사대ㆍ중서문하성 등에서 중견관료로 활약하다가 국왕의 측근직인 승지에 임명되었고, 원과의 관계가 긴밀히 전개되는 가운데 정동행성의 원외랑ㆍ낭중ㆍ유학제거 등의 요직을 겸직하다가 재상에 임명되었다. 이에서 주목되는 점은 중견관료일 때 管理職인 外官과 尙書6部의 관직을 역임하지 않고 주로 중서문하성ㆍ정동행성 등의 최고정책결정기관에 재직하였다는 점이다. 이처럼 안향은 화려한 경력을 거처 1294년(충렬왕 20) 이후 국정을 총괄하는 재상직에 올랐으나, 이 시기에 이루어진 국왕 측근세력들의 跋扈로 인해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지 못했던 것 같다.
안향은 그의 문집이 남아 있지 않아 학문적인 수준이나 문한적인 능력을 검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그의 역관에서 문한기관에의 근무ㆍ고려 및 원의 學館職 역임ㆍ文翰職 겸직 등을 통해 볼 때 당대의 대표적인 학자임을 알 수 있다. 또 그의 학문의 진흥을 위한 공헌은 항상 興學養賢을 자기의 임무로 삼았다는 점이나 국학의 재건ㆍ섬학전의 설치ㆍ중국 강남에서의 서적구매 등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다.
안향이 처음으로 朱憙의 성리학을 고려에 도입하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긍정ㆍ부정의 두 입장이 있어 왔다. 그렇지만 관련 자료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안향이 성리학의 수용에서 큰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비판적인 견해는 수긍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남송의 성리학에 관련된 서적이 고려에 유입된 것은 안향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고, 이로 인해 성리학이 고려에 수용되는 터전이 마련되었다고 보는 것에는 문제점이 있을 수 없다.
성리학의 도입에서 안향이 차지한 위상은 높았지만 그의 역할이 당시에 크게 부각되지 못하여 1319년(충숙왕 6) 그가 文廟에 從祀될 때 반대의 의견도 제시되었다. 이 시기에 아들 안우기는 政界의 핵심에서 밀려났고, 문생인 尹宣佐ㆍ尹安庇ㆍ李彦冲ㆍ洪侑ㆍ金光軾 등도 힘이 되지 못하였다. 단지 충선왕의 지우를 받고 있었던 문생 辛蕆의 노력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안향의 행적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고려가 大元蒙古國의 제후국으로 정착하던 시점에서 정치적 현실을 수긍하면서 안정된 內治의 도모와 文風의 진작만이 왕조를 온존시킬 수 있다는 현실인식을 지닌 文翰官僚의 삶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01-23 | 통합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2-2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한국문화 -> 퇴계학과 유교문화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8-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학국문화 -> 퇴계학과 한국문화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