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과정적 운영요소 및 운영효과 분석: 부천시, 유성구, 곡성군 시범사업 지역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the operational elements and effects of a youth growth support network in a loc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governance: Targeting the pilot project areas of Bucheon-si, Yuseong-gu, and Gokseong-gu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29(25쪽)
제공처
This thesis examined, through empirical methodology, the operational elements, and operational effects of a youth growth support network in a local community, and tool place during a three-year project undertaken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o this end, a complete survey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of the pilot project in the 3rd year (generating a response rate of 79.2%).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operational elements such as goal setting, trust relationship, decision-making norms, participant account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al structure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Secondly, operational effects such as service efficiency enhancement, service capacity enhancement, community empathy and participation increase, independent self-sufficiency enhancement, and overall operation effect were similarly, found to be relatively high. Thirdly, participant account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al structure were observed to affect operational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th growth support networks, established within local communities can be effective and their extention to other communities should be given due consideration.
더보기이 논문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3년간의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운영요소, 운영효과 등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차년도 시범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기관 네트워크 운영에 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79.2% 응답). 분석결과, 첫째, 목표설정, 신뢰관계, 의사결정 규범, 참여자 책무성, 운영구조의 효율성 등 과정적 운영요소들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효율성 제고, 서비스 역량 제고, 지역사회 공감 및 참여 증대, 지역사회 독립적 자생력 증대, 전체 운영효과 등 운영효과들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 책무성과 운영구조의 효율성이 운영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효과가 있으며, 타 지역사회로의 확대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