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융복합 공연예술 발전 단계 및 유형 분석: ‘온·오프라인 공간 융합형’ 공연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evelopment Stages and Types of Convergent-Complexity Performing Arts: A Focus on “Online-Offline Spatially Integrated” Performances
저자
권경아 (숭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97-906(10쪽)
제공처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공간 융합형’ 융복합 공연예술을 정의하고, 그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방향을 탐색한다. 융복합 공연예술의 개념과 발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공간 융합형 공연의 주요 특성을 도출하였다. 기존 공연은 주로 장르 또는 기술 중심의 결합에 초점을 맞췄으나, 공간 융합형 공연은 현실과 가상 공간이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양쪽 모두가 공연 무대로 기능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전환은 메타버스 및 확장현실(XR) 기술의 발전과 맞물려 공연예술의 공간 구조를 근본적으로 확장하고, 물리적 제약을 넘는 관객 개입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The Future Circus(2017)와 허수아비(2019)를 분석하여 공간 구성, 연출 방식, 관객 참여 구조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공연자는 가상과 현실 무대를 자유롭게 넘나들고, 관객 반응이 서사 전개에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 인터페이스 설계와 하이브리드 무대 기획이 향후 융복합 공연 창작의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더보기This study defines “online–offline spatially fused” convergent-complexity performing arts, and explores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Specifically, it reviews the conceptual development and typological stages of convergent performing arts, and identifi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spatial fusion. While early convergent performances focused on genre or technological fusion, spatially fused performances connect physical and virtual spaces in real time, allowing both environments to function as the performance venues. This shift, driven by advances in metaverse and extended reality(XR) technologies, expands the spatial logic of the performance and enables audience interaction beyond physical boundaries. Next, through the case analyses of The Future Circus (2017) and Scarecrow (2019), the study examines the associated spatial structure, directing techniques, and audience engagement. The findings show that performers move fluidly between virtual and physical stages, while audience input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narrative flow. Based on these findings, spatial interface design and hybrid stage planning are suggested as key strategies for future practices in convergent performing ar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