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과 비판적 사상 고찰
저자
백진솔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15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219(57쪽)
제공처
본 연구는 동학사상의 인식론적 전제가 되는 수운 최제우의 관계론적 세계인식과 비판적 사상 고찰의 내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운의 저술에 언급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은 수운의 ‘지역, 역사, 시대, 시운(시대변화의 흐름)’에 대한 인식을 기준으로, 수운의 비판적 사상 고찰은 수운의 ‘서학과 유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더불어 사상의 방법으로서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과 비판적 사상 고찰의 의의와 그 현대적 함의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수운의 관계론적 세계인식의 경우, 수운은 자기 자신을 지역, 역사, 시대, 시운과의 상호유기적이면서도 상호구성적인 관계 속에서 이해하였다. 특히 수운은 자신의 ① 지역인식(지역역사, 자연지리), ② 역사인식(선조와 자기근원의 인식), ③ 시대인식(신분간, 직업간, 지역간, 사상간의 월경의 경험), ④ 시운인식(인간의 기국(도량)에 의해 달라지는 시운)과의 관계 속에서 부단히 자신의 정체성과 사유를 재구성하고, 다른 여러 사람들의 입장과 처지에서 사회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첨예하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현실 적합한 동학사상을 창도할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수운의 비판적 사상 고찰의 경우, 수운은 서학의 ① 제국주의적 폭력과 함께 세워지는 천주당, ② 가르침, 기도의 허무성, ③ 물질적 자취가 없는 천주, ④ 외재적 신에 의타적·현실도피적인 태도에 비판의식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 유학의 ① 천도의 체득까지 걸리는 오랜 수양시간과 그 방법의 어려움, ② 한문으로 쓰여진 외재적 경전에 의지하여야 한다는 점, ③ 엘리트중심의 성인화, ④ 외재적 규범에 의해 강제되는 도덕에서 발생하는 폐단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수운은 당시 사회에서의 ‘합리성(혹은 진리)’의 기준이었던 천도를 ‘외재적 지식(경전, 성경)’이나 ‘엘리트(정치적·사회적·종교적 엘리트)’에 의지하여 깨닫고자 했던 서학과 유학의 한계를 의식하면서, 누구나 ‘자기 자신’과 ‘수양(수도와 수덕)’을 통해 천도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이 스스로 ‘주체로서 자기정체성 및 사회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상적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al worldview and critique of thought of Suwun Choi Je-woo, which serves as the epistemological premise of Donghak thought. The analysis focused on the content mentioned in Suwun’s writings. Suwun’s relational worldview was based on his perception of region(locality), history(lineage), times(era), and the flow of the times(the flow of changes in the time), while the critique of relational thought concentrated on Suwun’s criticisms of Seohak(Catholicism) and Confucianism.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Suwun’s relational worldview and critique of thought as a method of thought in the context of modern society. In Suwun’s relational worldview, he understood himself within the interconnected and co-constitutive relationships with his region(local), history(lineage), times(era), and the flow of time. Specifically, Suwun continually reconstructed his identity and thought in relation to: (1) regional(local) perception(local history and natural geography), (2) historical(lineal) perception(the recognition of ancestors and personal origins), (3) perception of times (experiences of crossing boundaries between social classes, occupations, regions, and ideologies), and (4) perception of the flow of time (the changing dynamics of the times shaped by human capacity and generosity). Through these ongoing efforts, Suwun developed a sharp consciousness of social realities from the perspectives and positions of various others, enabling him to establish the Donghak thought in a way that was more closely aligned with contemporary realities. In analyzing Suwun’s critical thought, he appears to have held a critical stance toward aspects of Catholicism(Seohak, Western idea), including: (1) the imperialistic violence associated with Catholicism, (2) the futility of its teachings and prayers, (3) the lack of material evidence of God, and (4) a dependent and escapist attitude toward an external god. Similarly, Suwun criticized certain aspects of Confucianism, such as: (1) the prolonged period and difficulty of cultivation required to realize the Cheondo(天道: the divine order, universal truth), (2) reliance on external scriptur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3) The elitist tendency in ethical political leadership, and (4) the moral issues arising from ethics imposed by external norms. Aware of the limitations of Seohak(Catholicism) and Confucianism—both of which relied on “external knowledge” (scriptures, bible) and “elites” (political, social, or religious elites) to comprehend the Cheondo(the divine order, universal truth)—Suwun established thoughtful foundation that allowed individuals to realize the Cheondo through “oneself” and “cultivation”(spiritual practice and moral ethical training). This enabled individuals to independently construct their ident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as autonomous subject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