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이라크 전쟁 중 대반란작전(COIN Operations) 사례 연구 - 1ㆍ2차 팔루자 전투(2004)를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n the Counterinsurgency(COIN) Operations during the Iraq War: Focused on two Battles at Fallujah(2004)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3-312(30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two battles at the Iraqi city of Fallujah in 2004 were the turning points in US efforts to stabilize the country during the Iraq War. Since the collapse of Saddam Hussein's regime, various anti-American groups came to this small city that soon became a symbol of anti-American insurgency in the entire Iraq. US authorities in Iraq attempted to eliminate the treats before it became a serious matter. However, the insurgents that were controlled by Al Quader terrorists' organization made the initial move by killing four Americans in March 31, 2004. This incident soon fuzed to US responses to suppress the armed insurgents in Fallujah.
Although two battalions from the 1st US Marine Division came to this city to solve the Fallujah Issue in early April, they failed to put the insurgents down. About 4,000 armed insurgents resisted fiercely against US forces who suffered from lack of intelligence on the enemy. The outcome of the first battle became favorable factors for the insurgents to maximize their power. However, US officials would not admit the existences of these threatening insurgents. They soon sent larger and stronger troops to the city in early November in order to solve the Fallujah Issue permanently. When Operation Al Fajr began, US troops were able to dissolve the insurgents from the city by successful combined operations with the new Iraq troops. With successful results from the second battle at Fallujah, the stabilization operation in Iraq received positive effects, along with significant momentum in the US policy towards the ‘Iraqization of the Iraq War.’
이라크의 작은 도시 팔루자에서 2004년 4월과 11월에 발생한 두 차례의 전투는 이라크 전쟁 중 안정화 작전의 성공 여부가 달린 전환점이었다.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붕괴한 이후 이라크 전역에서 반군 세력이 팔루자로 몰려들었고, 이들은 이후 알카에다 테러 조직과 연계하여 더욱 위협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미군은 이들을 해산시키려 하였으나, 오히려 2004년 3월 말에 반군 세력이 미국인 네 명을 살해하는 등 팔루자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팔루자에 집결한 반군 세력을 진압하기 위해 2004년 4월 초에 이 도시에 투입된 미 해병부대는 약 4천여 명에 달하는 반군의 저항에 부딪쳐 도시 장악에 실패하였다. 이후 미군의 공격을 막아내고 첫 번째 전투에서 승리한 팔루자의 반군 세력은 이라크 내부에서 강력한 반미 세력의 상징으로 부상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이라크 안정화 작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미국은 2004년 11월에 두 번째 공세에 나섰다. 첫 번째 전투의 실패를 분석하여 압도적인 병력과 장비를 동원한 미군은 이라크 보안군과 원활한 연합작전을 수행하여 반군 세력 제압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이라크 안정화 작전 수행에서 최대 걸림돌이었던 팔루자 문제가 해결된 것이다.
두 차례의 전투에서 미군과 이라크 보안군이 반군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것은 단순한 군사작전의 승리 이상의 함의를 갖는다. 모든 반군 세력이 축출된 팔루자는 2007년까지 연합군의 지원을 받아 전후복구에 매진하였고, 그 결과 이라크에서 가장 안정된 도시이자 ‘새로운 이라크’를 상징하는 도시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라크 안정화 작전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던 팔루자 전투를 대반란작전과 4세대 전쟁의 한 양상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3-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KCI등재 |
2015-03-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8 | 0.18 | 0.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