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학습자 요구 기반 대학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 개선 연구 - 충청북도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Improvement of Basic University Communication Subjects Based on Learner Needs - The Case of a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3-195(3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basic communication subjects of universities based on the needs of learners. To this en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How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university communication subjects based on learners’ needs? Second, what is the core content of university basic communication subjects based on learners’ needs? It proceeded by setting it to “?”. As research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for learners and freshmen at University A who took the courses, “Thinking and Expression 1” and “Thinking and Expression 2,” the web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 2020 to November 20, 2020. Data of 687 out of 1,567 students surveyed(43.84%)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is used to improve textbooks and standard lecture plans by designing standard lecture content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who are educational subjects.
The main research areas and futur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on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This point conflicts with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communication courses in college, so it is a point to be careful about when defining the nature of curriculum and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 Second, the research results that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burden on learners’ “public speaking” suggests the necessity to reconsider the nature of basic communication subjects centered on “writing” education. Third, when constructing a curriculum for each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the learning structure of the major discipl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Usually, in the curriculum of each department, only the learning structure of the major disciplines is considered. However, there are also characteristics of learners, such as feeling a great burden of communication performance or low awareness of the need for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al plan to solve this problem. Fourth, it is essential to organize the educational content in a modular form to cope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major categories are different while accommodating social demands, and to take into account that there is no single learning structure for each major field.
이 연구는 학습자 요구를 기반으로 대학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는 ‘첫째, 학습자 요구를 기반으로 할 때 대학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의 성격은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가?, 둘째, 학습자 요구를 기반으로 할 때 대학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의 핵심 교육 내용은 무엇으로 설정할 수 있는가?’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학습자 대상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사고와 표현 1’, ‘사고와 표현 2’ 과목을 수강한 A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02일부터 2020년 11월 20일까지 웹 서베이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대상 학생 1,567명 중 설문에 응답한 687명(43.84%)의 자료가 수집되어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 의사소통 교육과정은 직무 의사소통 능력 등 실용적인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의 성격 중 교양 교육으로서의 성격과 충돌하는 지점이므로, 교육과정의 성격을 규정하고 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 주의해야 하는 지점이다. 둘째, 학습자의 ‘공적인 말하기’에 대한 수행 부담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연구 결과는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의 성격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계열별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는 전공 학문의 학습 구조와 해당 전공생의 특성이 모두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보통 계열별 교육과정에서는 전공 학문의 학습 구조만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계열별로 의사소통 수행 부담을 더 크게 느끼거나,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등의 학습자 특성도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전공 계열 구분 기준이 달라지는 상황에 대처하고, 전공계열별로 단일한 학습 구조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기 위해 교육 내용을 모듈형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4 | 1.141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