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생태주의 교육 담론으로서 웹툰의 위상과 활용 - 조석의 『문유』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Status and Application of Webtoons as Ecological Education Discourse - Focusing on Cho-Seok’s MoonYou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62(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We live in the digital age.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pointed to ‘digital' as one of the big topics of education for future society. In the future, the era of digital deepening will come. In order to encompass the digital generation, efforts are needed to select good texts made by digital customs as educational sanctions. In this article, we pay attention to the genre of ‘webtoon' as an easy and learner-friendly text.
Webtoons are one of the web contents that have recently emerged as a story bank of K-culture, and are also known as ‘Snack culture’in the sense of a culture that is enjoyed lightly. The reason why webtoons are attracting attention is that webtoons are very friendly narratives for secondary school learners and deal with various social issues carefully, although not heavy.
In this article, Cho-Seok's "MoonYou”is not only included in the social ecological discourse, but also aims to prove that it is included in the full-fledged ecological theory in that it seeks a way for animals, environment, and humans to live together in the extreme situation of disaster. To this end, the work was analyzed in two contexts: social competition and conflict narratives inherent in "ordinaryness”and the restoration narra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imal environment earth and humans, and its educational potential was also examined.
MoonYou has not lost the comic while living in reality criticism, added empathy to it, and approached the issue of philosophy of how to live. In this context, this work can be said to be the best ecological discourse currently published among webtoon works.
우리는 디지털 시대에 살고 있다. 최근 교육부는 ‘디지털’을 미래사회 소양 교육의 큰 화두의 하나로 지목했다. 앞으로는 디지털이 더욱 심화된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디지털 세대를 아우르려면 디지털의 관습으로 만들어진 좋은 텍스트를 교육 제재로 선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쉽고 학습자에게 친화적인 텍스트로서 ‘웹툰’이라는 장르에 주목한다.
웹툰은 K-문화의 스토리뱅크로 최근 떠오른 웹 콘텐츠의 하나로, 가볍게 즐기는 문화라는 의미로 소위 ‘스낵컬처(Snack culture)’로도 알려져있는 디지털 서사물이다. 웹툰이 주목되는 이유는 웹툰이 중등 학습자들에게 매우 친근한 서사물로서 각종 사회적 이슈들을 무겁지 않으나 진중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석의 『문유』가 사회적 생태 담론에 포함될 뿐 아니라, 재난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동물, 환경,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길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본격 생태론에도 포함되는 담론임을 증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작품을 ‘평범함’에 내재한 사회적 경쟁과 갈등 서사, 동물 환경 지구와 인간의 관계성 복원 서사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교육적 가능성도 살펴보았다.
『문유』는 현실비판에 가닿아 있으면서도 코믹을 잃지 않았고, 거기에 공감을 더했으며,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가 하는 철학의 문제에도 접근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작품은 현재 발표된 웹툰 작품 중 최고의 생태학 담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