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젠더불평등과 저출산정책의 정책굴절 ─ 정부의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 Gender Inequality and the Refraction of Low Fertility Policy: Focusing Critical Analysis of the Government’s “Measures to Reverse Low Birth Trend”
저자
송다영 (인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88(38쪽)
제공처
본 연구는 24년 6월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했던 현 정부의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정부의 반전대책은, 기존 제1차-제4차 기본계획과 다르지 않게, 결혼·출산가구나 여기에 근접한 소득수준이 높은 그룹에게 유리한 혜택을 주는 문제를 드러냈다. 무엇보다도 반전대책에서 명실공히 중요성이 강조된 일·가족양립 부문은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성평등 관점 없이 기존의 틀을 고수함으로써 정책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굴절될 가능성을 한계로 노정하였다. 즉, 30-40대 여성이 직면한 노동시장에서의 고용불안정, 장시간 노동관행이 성역할규범과 결합되면서 발생하는 여성의 이차적 지위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었기 때문에, 일·가족양립정책에 더 많은 예산을 투여해도 대다수 여성이나 낮은 소득계층의 남성들에게는 혜택이 닿지 않는 정책굴절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적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성평등 관점을 결합하는 것이 정책을 성공적으로 완결시킬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the current government’s counter-measures proposed on June 2024, so called “Measures to Reverse Low Birth Tren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imilar to the existing 1st-4th basic plans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the recent counter-measures disproportionately benefit marriage/birth households or groups with high income levels. Despite efforts to improve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these counter-measures, the lack of gender equality perspective is expected to lead to policy refraction. Specifically, the counter-measures fail to critically address the secondary status of women, which arises from the combination of employment instability and long working hours faced by women in their 30s and 40s, compounded by traditional gender role norms. Consequently, even with increased investment in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the measures are predicted to fail to benefit most women or men in the low-income class.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complementary measures aimed at gender equality are essential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low fertility polic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