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 죽지사의 두보 「기주가」 변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Chosun Jukjisa as a Modification of Du Fu's Kijuga
저자
최고경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7-110(24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Jukjisa(竹枝詞) is a 7 quatrain series poem that has an ethnic quality and the nature of a folksong, and it originates from Jukjisa by Liu Yuxi(劉禹錫). Besides Yoo Seok’s works, Jukjisa by Su Shi(蘇軾), KijuJukjiga by Fan Cheng Da(范成大) and Kijuga by Du Fu(杜甫) have also influenced the Chosun Jukjisa,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works. In this way, Chosun Jukjisa is derived from various sources. but the example of Kijuga by Du Fu is especially noteworthy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how it has been used, with different writers using it in different ways. Kijuga is a mixture of Jukjisaesque elements and elements that diverge from the Jukjisa form, so it cannot be said to be a complete Jukjisa. Therefore, among the writers who have drawn upon this work, there are some people who have brought the Kijuga into the realm of Jukjisa and others who have not. Lee Ha-gon and Jeong Won-yong are examples of the former, adopting and exploiting the Jukjisaesque aspects of the work. Lee Ha-gon recognized the 'Kijugache' as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 customs of the region and depicted the lives of potters in Gwangju Bunwon in detail. Jeong Won-yong dealt with the distinctive local product and customs of Hoeryong, Hamgyong Province. But at the same time, he also composed some works that do not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Jukjisa, thus demonstrating another modified form of Kijuga. There are also works that do not contain any elements influenced by the Jukjisa, the authors having chosen to adopt the parts of Kijuga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Jukjisa form. These various modifications show that the Kijuga by Du Fu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the origin of Chosun Jukjisa. The work of exploring the origin of Chosun Jukjisa is an important aspect in the study of Jukjisa because it is the basis for clearly confirming how Jukjisa was perceived by the literary men of the Chosun era.
더보기죽지사는 토속적·민가적 성격의 7언 절구 연작시로, 당나라 유우석(劉禹錫, 772~842)의 「죽지사」를 기원으로 한다. 유우석의 작품 외에도 소식의 「죽지가」, 범성대의 「기주죽지가」, 두보의 「기주가」 등이 조선 죽지사에 영향을 끼쳐 다채로운 작품을 생산하였다. 이처럼 죽지사의 연원이 다양하게 있지만, 두보의 「기주가」 경우에는 수용 양상이 단순하지 않고 작가에 따라 다르게 변용되어 주목된다.
「기주가」는 죽지사적인 요소가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섞여 있어 완전한 죽지사라고 할 수 없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이 작품을 표방한 문인들에 따라 「기주가」를 죽지사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사람도 있고, 아닌 경우도 포착된다. 이중 이하곤과 정원용이 「기주가」 가운데 가장 죽지사적인 면모를 가진 부분을 받아들여 활용한 예이다. 이하곤은 ‘기주가체’를 그 지역의 특징적인 풍속을 담은 것으로 인식하고 광주 분원 도공들의 삶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정원용은 함경도 회령의 특징적인 토산과 풍속을 다루었으나, 죽지사적인 성격을 지니지 않은 것도 함께 지어 「기주가」의 또 다른 변용 양상을 보였다. 이하곤과 정원용의 경우 외에 「기주가」 속 죽지사적인 성격을 수용하지 않고 운만 차용한 작품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변용 양상은 두보의 「기주가」도 조선 죽지사의 연원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죽지사의 연원을 탐구하는 작업은 조선 시대 문인들이 죽지사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추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므로 죽지사 연구에 중요한 지점이 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