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秦道家 ‘无为’ 思想研究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1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9-113(15쪽)
제공처
‘무위(無爲)’는 중국고대철학(中國古代哲學)의 중요한 철학범주(哲學範疇)이며 도가(道家)의 핵심범주 중 하나이다. 선진시기(先秦時期) 도가(道家), 유가(儒家), 형명법술가(刑名法術家) 등 제자백가(諸子百家) 중 ‘무위(無爲)’를 이야기 하지 않은 학파는 없으며, 한대(漢代)에는 학자들의 연구뿐 아니라 현실에서의 실험도 이루어져 한초(漢初) 무위정치의 태평성대를 열었다. 무위개념(無爲槪念)은 자연관 정치관 인생관 등 모든 방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계승발전 되어 왔다. 선진도가(先秦道家)의 무위사상(無爲思想)은 세 가지의 발전방향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자연무위(自然無爲), 둘째는 소요무위(逍遙無爲), 셋째는 군도무위(君道無爲)이다. 도가무위(道家無爲) 이론은 인간의 의식적 행위를 추구하지 않는 것을 그 기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도가의 비조라 불리 우는 노자의 무위사상은 자연무위이며, 성인무위(聖人無爲)로서 적극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전국후기(戰國後期) 이후 노자(老子)의 무위사상은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첫째는 장자(莊子)의 소요무위이고, 둘째는 장자후학(莊子後學) 황로학파(黃老學派)의 군도무위 사상이다. 장자는 암울한 사회 현실 속에서 자아를 실현(實現)할 방법을 찾았고 정신의 절대자유(絶對自由)를 추구하며 무위를 절대정신(絶對精神)의 자유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각한다. 또 다른 발전방향은 군도무위 사상이다. 전국후기 도가사상은 절대적인 무위만을 강조하지 않으며 일정한 조건 속에서의 유위(有爲)를 이야기한다. 장자후학 황로학파는 노자의 무위사상을 계승 발전시켜 군주무위(君主無爲) 신하유의(臣下有爲)의 사상을 주장한다.
더보기‘无为’是中国古代的一种重要哲学范畴.先秦道、儒、治刑名术的学者无不讲它,汉代不仅学者讨论,还被施诸实践,造成了汉初‘无为’而治的盛世.它对后世的影响是极其深远的.‘无为’内涵十分丰富,包括自然观、政治观、人生观诸方面的内容.它是不断发展、不断丰富、不断完善的.先秦道家的‘无为’思想有主要三条思路:第一、自然无为,第二、逍遥无为,第三、君道无为.道家‘无为’理论,其基点在于强调人不应当刻意追求,甚至连想都不要想,而应当让一切都随顺自然.这在老子早期的理论中称为‘无以为’.老子后期的哲学思想适应了社会形势需要,于‘无为’理论中加上了积极进取的内容,提出了‘无为而无不为’的命题,将随顺自然的命题加以改变,变为随心所欲,无所不为. 在战国后期,老子的无为思想具有两个发展方向.一是、逍遥无为:庄子探求的是个人在沉重黑暗的社会中如何实现自我的方法,追求的是一种精神上的绝对自由.‘无为’就是实现这种自由的途径.‘无为’带有庄子个人式的超然和达观.庄子的‘无为’、‘精神’、‘自由’,时刻使知识分子舒展自己的性情,率性称情而行,从而使自我存在能够处于绝对自由的天地.另一个发展方向是,在战国后期,道家思想不再强调绝对的‘无为’,不再囿于‘无为’的范围,而是强调一定条件下的‘有为’,强调‘不得已’而有所作为.这是黄老道家学派的君道无为思想.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