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식수문화의 변화과정 = 우물에서 상수도까지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5-265(31쪽)
제공처
소장기관
식수를 얻는 방식은 우물에서 작두샘, 그리고 상수도로 변화하였다. 이는 단순히 수리시설의 변화에 지나지 않지만, 문화변동의 관점에서 보면, 수리기술과 수리집단, 그리고 수리관념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빚은 수리문화체계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우물에서 상수도까지의 변화과정은 무엇보다도 수리집단 즉, 인구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도시화를 비롯한 집락(集落)의 거대화는 수리기술에 있어서 상수도와 같은 대규모 산업시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리고 식수의 취수와 공급에 있어서 편리성과 대규모를 지향하는 산업기술에 기반을 둔 수리기술은 물 공급과 소비의 분리라는 수리조직의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물의 사회적 소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전통적인 수리관념의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물의 대한 신성성은 사라지고 사회적으로 물의 상품화가 진행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좋은 물에 대한 갈망은 지속되어 물의 상품화가 더욱 다양화되었으며 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가치인식은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물을 둘러싼 기술체계와 조직체계, 그리고 이념체계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수리문화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People obtained drinking water from fountain wells and then from syringes are now benefitting from tap water. Though that just reflects the change of water supply facilitie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change of water supply culture system which has been generated from the interaction among water supply technology, water supply community, and the concept on water supply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change.
The change process from fountain wells to tap water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water supply community, that is, the population using the water. Large-scaled resident areas constructed through urbanization required the industrialized water supply system like pipe-lined one. Technology-based water supply system which primarily aimed the improvement of convenience and the scale enlargement caused the separation between water suppliers and water consumers as well as the increase of water consuming and the change in the traditional concept on water supply. Whereas the sacred concept on water disappeared, water was commercialized.
Notwithstanding, the desire to obtain quality water has been strengthened, the commercialization of water has been diversified, and the value of water as well as people's interest on water has increased. Water supply culture is in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the continuous interaction among water supply technology, water supply community, and the people's concept on water suppl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