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성장 동력과 한계 - KBS 라디오의 <무엇일까요>를 중심으로 =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Children Quiz Program - Focused on What is it of KB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1-435(4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intends to study the growth power and limitations of long-lived program by actually reconstructing the KBS’s children quiz program <What is it>. The result from actual analysis using historic document research method is as followed. First, major personnel of KBS children programs hav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program. The program was created by the chief of scheduling department Jeong-pal Noh, dire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children’s program Yong-hee Han, and hosted by the Young-sook Gang and In-sook Kim. It was unique at the time to have separate writer for the quiz program, and there is high chance of Jeong-pal Noh working as a writer Il-am Park with the help from So-choen Gang. Second, the program was created on January 30, 1954 and assumed to have abolished after 1966.
Nextly, the growth power of the long-lived program <What is it> was found in the factors pursuing the educational fun which was the creation purpose. First,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 from KBS, the program played a role as a propaganda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olicy using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Moreover, the excessive fervor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lso have contributed to the program’s success. Second, the joy of program was maximized by utilizing the popular format and system in various ways. Combining the public broadcasting radio format with the quiz, the program has diversified the format and the style. At the same time, the program has provided a chance to participate for the audience while securing the fairness and spreading the interest of the age groups. Although it was broadc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gram successfully captured the novelty by continuously change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oper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story and music in various dimensions to the ‘question-answer’ format, the program has provided vitality to the quiz itself, which can otherwise be taken as flat without fun. These factors naturally invoked the educational enjoyment joint together with the tension and desire for self- satisfaction embedded in the quiz program.
Lastly, the limitation of <What is it> is interlocked with the abolition of the program. In the late-1950s, <What is it> became such a successful contents to the point that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including KBS designed by benchmarking. However, considering the inside factors, the program began to loose the reliability due to the immature progressing method and increased incorrect rate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Considering the outside factor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weakened in the changed broadcasting environment, added by the abolition of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Nevertheless, <What is it>, along with <Who is good>, has enough meaning as the growth power of ≪Children’s Hour≫ from KBS in the 1950s, and as a tonic and foundation for knowledge-base quiz program after 1970s ≪Janghak Quiz≫.
이 글은 KBS 라디오의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 <무엇일까요>를 실증적으로 재구성하여 장수 프로그램의 동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역사적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무엇일까요>를 실증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 어린이계의 핵심 인사들이 제작과 운영에 참여하였다. 편성계장 노정팔이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PD는 어린이계 담당자 한용희가, 진행은 강영숙, 김인숙 등이 담당했다. 당시 퀴즈 프로그램에 작가를 따로 둔 점이 특이한데, 노정팔이 작가 박일암으로 활동하는 가운데 강소천이 조력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의 신설은 1954년 1월 30일이었으며, 폐지 시기는 1966년 이후로 짐작되었다.
다음으로, 장수프로그램 <무엇일까요>의 동력은 신설 목적인 교육적 재미를 추동한 요인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이 프로그램은 KBS 라디오의 제도적 지원 속에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내용으로 삼아 당대 초등교육정책의 프로파간다 역할을 했다. 거기에 중학입시제도와 연계된 높은 교육열이 프로그램의 성공에 한몫을 했다. 둘째, 대중적인 포맷과 양식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재미를 이끌어냈다. 대중적인 라디오 포맷인 공개방송과 퀴즈를 결합하여 프로그램의 공정성 확보와 청취자 참여기회의 확대, 그리고 또래집단의 관심 확산을 꾀했다. 그리고 긴 기간 방송되었음에도 프로그램의 제작과 운영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새로움을 잃지 않았다. 특히 ‘질문-응답’ 구조에 극과 음악 등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여 밋밋하기 쉬운 퀴즈 프로그램 자체에 생동감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퀴즈 프로그램이 내장한 긴장감과 자기성취 욕망을 아우르면서 교육적 재미를 자연스럽게 이끌어내게 했다.
마지막으로, <무엇일까요>의 한계는 폐지 이유와 맞물려 있었다. <무엇일까요>는 1950년대 중반 이후 KBS 라디오를 비롯한 여러 방송국에서 벤치마킹할 만큼 성공적 콘텐츠였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프로그램 내부의 허점들이 노출되면서 신뢰도가 떨어져 갔다. 그리고 다변화된 매체환경 속에서 경쟁력이 약화된 데다 중학입시제도의 폐지 분위기가 더해서 프로그램 폐지 수순을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무엇일까요>는 어린이 퀴즈 프로그램의 출발점이자 기준점으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녔다. 나아가 매체환경의 변화 속에서 학생 퀴즈 프로그램을 넘어 에듀테인먼트의 활로 모색에도 유의미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0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1 | 0.739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