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조선 문화권 차마구의 전개 초론 - 외래 계통 차마구의 유입과 변용 - = The Development of the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in Gojoseon Cultural Sphere : The influx and its transformation of the Foreign Styl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9(3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are often found in the Gojoseon cultural sphere, but in terms of combination and quantity, they cannot be compared with those found in the Zhongyuan and Steppe culture area. Some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were unique, but most were either from the Zhongyuan and Steppe style or modified for localization. However, Gojoseon elites focused on borrowing the symbolism and prestige of chariots represented by the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and it is thought that some of the upper classes manufactured and used them to display their authority or power in ceremonial marches.
The culture area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is centered on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erefore, it only spread to the Liaoxi region in the 8th to 7th centuries BC, when they exchanged with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to the Liaodong region in the 6th to 5th centuries BC when they exchanged with the Yuhuangmiao Culture and Zhongyuan Culture. It is confirmed that most of the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were restored as chariot drawn by two or four horses together. In the culture area of Slender Bronze Dagger, only a few types of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were identified, mainly in North Korea. However, some indigenous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were confirmed in Wiman Joseon. In the stage of Bimetallic Dagger Culture in the early of Nangna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non-Han and Han style, as well as Xiongnu style’s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At this time, the chariot fittings and harnesses were restored as chariot drawn by a single horse was also developed.
고조선 문화권의 차마구는 많은 기종들이 확인되는 것에 비해 그 조합이나 수량에는 중원이나 초원 문화권에 못미친다. 독자적인 것도 일부 보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초원계통이나 중원계통 차마구를 수용하였거나 이를 변형시켜 재지화한 것이 많다. 마차 또는 전차 문화를 수용하였지만, 이를 본격 사용하는 일상으로연결하지 못하였다. 고조선 문화권의 엘리트는 차마구로 대표되는 마차(전차)의 상징성과 위세성을 차용하는 것에 주목하였으며, 일부 상위계층은 의례적인 행위들을 통해 그들만의 힘을 과시하며 공동체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는 데에 활용하였다고 생각된다.
비파형동검문화권에서는 십이대영자문화를 중심으로 보이는데, 하가점상층문화와 교류하는 전기(기원전8~7세기경)에는 요서지역에서 확인되며, 옥황묘문화나 중원문화와 교류하는 후기(기원전 6~5세기경)에는 요중지역까지 확산되는 한편 차마구가 가장 발전한다. 이때에는 2·4마리의 말이 끄는 2륜 독주차로 복원되는 차마구가 주로 확인된다. 세형동검문화권에서는 북한이나 그 주변부를 중심으로 확인된다. 특히 위만조선에는 토착적인 차마구가 일부 확인되며, 서한·흉노와도 교류 관계가 형성된다. 낙랑 초기의 동병철검문화단계에는 재지화된 차마구와 서한계통 및 흉노계통 차마구가 공존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에는 1마리의 말이 끄는 2륜 쌍원차로 복원되는 차마구도 발전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7-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rchaeology -> Archaeology: Journal of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울경기고고학회 -> 중부고고학회영문명 : Seoul Kyonggi Archaeology Society ->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4 | 1.04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2.135 | 0.4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