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측성 이소성 다낭성 이형성신을 가진 신생아에 동반된 자궁 융합기형의 초음파 진단 =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a Uterine Fusion Anomaly Associated with Neonates with Unilateral, Ectopic,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force the necessity of careful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the uterus to detect uterine fusion anomaly in female neonates who were detected as having a unilateral, ectopic,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MCDK) on fetal US.
Materials and Methods: We detected eight unilateral ectopic MCDK on fetal US of second trimester and neonatal ultrasonography between October 2003 and February 2009; neonatal US were taken at 2 to 10 days after birth for the initial evaluation of MCDK. Uterine fusion anomaly, vaginal obstruction and other associated urogenital anomalies were evaluated by neonatal US.
Results: Four of eight female neonates with unilateral ectopic MCDK showed a double uterus on neonatal US. They all showed hemivaginal fluid collection.
Obstruction of the hemivagina and vaginal septum were depicted in two cases. A perivaginal cyst was seen in three cases, and in two cases the cyst was connected with the vaginal cavity. An ipsilateral perivaginal tubular structure was seen in one case, which was indicative of a ureteral remnant. There was no associated anomaly in the contralateral kidney except for a tiny cortical cyst in one case.
Conclusion: The careful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the uterus is important in female neonates who showed the ectopic MCDK on fetal US. In addition, it may help to detect the fusion anomaly that is otherwise difficult to detect on fetal US and to devise a treatment plan to prevent upcoming complications.
목적: 태아초음파 검사에서 일측성 이소성 다낭성 이형성신이 발견된 여아에서는 동반된 자궁의 융합기형을 발견하기 위해서 주의 깊게 신생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0월에서 2009년 2월까지 산전과 신생아기에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소성 다낭성 이형성신이 발견된 8예의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산전 진단은임신 2기 초음파 검사 때 이루어졌으며, 신생아 초음파는출생 후 2-10일에 시행하였다. 신생아 초음파에서 자궁의융합기형, 질 폐쇄, 질 주위에 동반된 기형 및 요로계 기형의 유무를 살펴보았다.
결과: 이소성 다낭성 이형성신이 있었던 8예 중 4예에서신생아 초음파 검사상 중복 자궁을 보였다. 4예 모두에서중복자궁에 일측성으로 액체저류가 있었고, 2예에서 일측성 질 폐쇄와 질 격막이 보였다. 질 주위 낭종이 3예에서있었는데 그 중 2예에서는 질강과 연결되어 있었다. 일측성으로 질 주위에 요관 잔유물로 여겨지는 관형 구조물이보였다. 반대쪽 신장에는 1예에서 작은 낭종이 있었던 외에 다른 동반된 기형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태아 초음파 검사에서 일측성 이소성 다낭성 이형성신이 있었던 여아는 신생아기에 초음파 검사로 자궁을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태아 초음파에서는 발견하기 어렵지만 자주 동반되는 자궁의 융합기형을비롯한 생식기계 기형을 발견하고 장차 발생 가능한 합병증에 대비해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 유방의 낭성종괴를 관찰하는데 있어서 최신 초음파기법인 조직하모닉과 복합영상 기법이 고식적 초음파보다영상의 질과 유방암 진단을 위한 진단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01-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초음파의학회지 -> ULTRASONOGRAPHY외국어명 : 미등록 -> ULTRASONOGRAPHY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4-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Medical Ultrasound -> Korean Society of Ultrasound in Medicine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7 | 0.13 | 0.599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