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atent fingerprint Transfer Between Adhesive tape and Non-Porous Surface
저자
발행사항
아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 법과학과 , 2022. 8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363.25 판사항(23)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형태사항
xi , 66 p.: 삽화;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유제설
단면인쇄임
참고문헌: p. 56-63
UCI식별코드
I804:44009-200000638340
소장기관
테이프는 일상 생활 뿐만아니라 범인들이 납치, 강간, 감금 등에 이용하기 위한 범행 도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프 접착면에 유류된 지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테이프를 사용할 때 다양한 표면과 접촉됨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와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테이프 접착면에서 비다공성 표면으로, 비다공성 표면에서 테이프 접착면으로 잠재지문이 전이가 되는지 확인하고, 전이된다면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의 차이를 이용해 구별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 여부를 확인한 결과 기름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양방향으로 전이가 발생하였고, 땀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에는 비접착면에서 테이프 접착면, 청면 테이프에서 철과 유리로만 전이되었다. 추가적으로 전이된 지문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한지 확인한 결과 청면 테이프와 비다공성 표면 간에 전이된 지문은 대부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할 정도의 품질을 가졌지만 박스 테이프는 그렇지 않았다.
지문의 전이 여부를 확인한 이후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 사이에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 청테이프를 사용했을 때 특수한 문양이 나타났다. 이 문양을 이용해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을 구별했을 때 비다공성 표면보다 청면 테이프에 있던 지문을 잘 구별하였고, 비접착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서는 전이된 지문보다 유류된 지문을 잘 구별하였다.
현장에서 테이프가 부착된 표면이나, 부착된 것으로 예상되는 표면이 있다면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모두 지문 현출을 시도해야 하며, 청면 테이프가 부착됐을 경우 생성되는 특수한 문양을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을 구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Since tape is used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as a crime tool for criminals to use for kidnapping, rape, and confinemen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ingerprints left on the adhesive side of tape. However, despite contact with various surfaces when using tape,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ransfer of latent fingerprints between adhesive side of tape and surfaces. Therefo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whether fingerprints we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tape to non-porous surface and from non-porous surface to adhesive side of tape, and if they were transferred, it could be distinguish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is transferred between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the non-porous surface,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in both directions when sebaceous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s. and when eccrine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 they a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duct tape to iron and glass and from non adhesive side of tape to adhesive side of tape. Additionally, i investigated that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were available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found that most of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between the duct tape and non-porous surfaces were of sufficient quality for personal identification, but the box tape was not.
After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ransfer fingerprint was found to have a unique pattern when using the duct tape. When trying to distinguish using this unique pattern,, the duct tape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non-porous surface, and the original fingerprint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transferred fingerprint except for the non-adhesive side of tape.
If there is a surface with tape attached or expected to be attached in the surface, both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non-porous surfaces should be attempted to develop fingerprints, and unique patterns formed when the duct tape is attached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