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모티브로 한 칠예작품 연구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공예학과 , 2007. 2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 39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설
소장기관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꿈을 꾸고 살아간다. 꿈은 현실에서 이상으로 나아가는 발판이다. 그리고 어린시절부터 지금까지 나를 이끌어준 힘으로서, 또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복잡하고 치열한 현실 속에서 자신들의 성공과 만족을 위해 서로 경쟁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그들 개개인의 꿈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나친 경쟁과 치열한 일상 속에서 꿈은 현실적인 문제에 밀려나고, 급격하게 변하는 생활 속에서 꿈만을 생각하며 살아가기는 어렵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내면의 이야기를 꿈의 상징을 통해 시각화하여 칠예작품으로 제작함으로써 다시 한번 꿈의 의미를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삼고자 하였다.
작품의 조형적 측면에서는 잠잘 때 꾸는 꿈(夢)을 상징을 통해 시각화하여 표현하였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이상(理想)을 바탕으로 하여 기(器)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각각의 작품은 기(器)가 되는 동시에 하나하나가 작가 내면의 세계를 나타내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도록 하였는데, 그 형태를 단순하고 투박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의미를 확장하여‘꿈꾸는 마을’이라는 이미지를 강하게 갖도록 하였다.
작품에 표현된 그림은 기의 형태를 살려 이야기를 구성하는 공간의 자연이 나 구조물이 되도록 하여 이야기를 좀더 재미있게 꾸며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어린시절 크레파스로 그린 듯한 느낌을 나타내고 입체감과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골회와 지태칠(紙胎漆)기법을 활용하였다. 또, 작은 소품들을 제작하여 평면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마치 작가의 마음속을 들여다보듯 생동감 있는 느낌을 전하고자 하였다.
색상 표현은 작품에 담긴 이야기에 따라 색상, 명도, 채도에 차이를 두어 표현하여 전체적인 느낌만으로도 표현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분위기를 쉽게 파악하도록 하였다.
작품은 탈태건칠기법(脫胎乾漆技法)을 주로 사용하였고 목심칠기기법(木心漆器技法)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고, 표현기법은 나전의 끊음질, 줄음질 그리고 묘칠기법을 주로 사용하여 본인의 심상을 표현하는데 있어 다양하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기존 칠기의 무겁고 어두운 분위기를 탈피하고 내면의 이야기에 집중하여 심상이 담긴 이야기를 담아내고자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꿈을 다시 한번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작업을 한다는 것이 본인에 있어 이상(理想)을 향해 나아가는 노력의 과정임을 알고 본인의 심상의 부분을 어떻게 가시화 시켜 작품에 표현하느냐에 대한 실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They say that human life is a dream. Dream is indeed a vital power of man. Those who have no dream can hardly expect vitality of their life. A dream is actually a stepping stone leading man forward toward the future world. As far as my life is concerned, dream has been like a motive power directing me to look forward to future since my childhood.
The people of the modern world are living a life of severe competition in a reality of complicated society for the sake of their succes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aspir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ir dreams. However, their dreams are gradually pushed out by practical problems, and people are compelled to engross themselves in tackling the realities without allowing any room for them to savor their dreams. In reality, they become bogged down in difficulty to live a comfortable life of a dream in the stark realities of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With this understanding in mind I aim to grope through this thesis for the mental image of people, in order to convert it into a legend, so that it could be visualized in lacquer ware, with belief in mind that such an article can render an opportunity for us to recall the meaning of dream.
The expression of formative beauty of the subject article is visualized through a symbol of a dream dreamed in sleeping, while the expression of the mind is visualized in a form of ware to be expressive of an ideal.
Each product is made for use as a ware and at the same time for a meaning as a space expressive of my inner world. The product is made to have so simple and rustic image in a broad sense that one strongly savor an image of 'Town that Dreams' out of the product.
The product is made to have a figure of ware having a space in such a shape as an amusing legend could be made up. With intention in mind to make me recall the feelings that I felt my drawings of pastel crayons painted when I was a child, and in order to express the solid sense and feeling of the material, jitaechil technique is used with the lacquer of golhwae. In addition, a variety of small painting is made so vividly that appreciators can feel my artistic intent rather than an objective legend in a plane description.
The tone of color diff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the tone color, brightness and chroma of the product, making the general atmosphere of the legend become felt without any additional explanation.
The lacquer painting technique applied to the product is mainly by taltaegeonchil technique and partly by moksimchil technique.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applied to the product is mainly by act of lacquer-cut, myochil technique with the aggregate of the techniques, I could feel free in expressing my mental images of a considerable variety. In such product I can shed off the heavy and gloomy atmosphere of the existing lacquer ware, while concentrating the story of inner world on the image of the product to be incorporated in.
I have had an opportunity through this study to look back at my dreams of bygone age. I have realized that working is a process for my efforts to leap forward toward an ideal. With this understanding in mind I have entertained the opportunity to experiment of how to visualize and express my image on the produc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