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 기업의 CIS 직접투자: 배경과 투자동인 = Foreign Direct Investment of Russian companies in CIS region: background and motives
저자
박지원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3-255(33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analyzes that the background and motives of direct investment of Russian companies to CIS region are politically coincide with the purpose of Russian government to control this region and the economic purpose of each companies by several examples. Especially,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s on the direct investment of Russian companies to CIS region is that Russian government continuously expresses the exclusive interests to CIS region based on their past history and the intend of Russian government is projecting to Russian companies.
Many Russian companies started to go abroad because of global economic boom and breakthrough of limitation in Russian domestic market after 2000 years. And Putin administration controlled tightly Russian companies by projecting political and economic intend of government to CIS and this intensified the investment of companies to this region.
This article analyzes that the intend of Russian government to control CIS region worked as a factor of Russian companies FDI to this region based on politically reciprocal understanding by human network of government and companies. The political intend of government can be easily penetrated to the companies especially government controls many aspects of country where the boundary is unclear as in Russia.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 analysis on Russian companies,Gazprom and Lukoil are involving in many gas and oil projects in CIS region and through this they can integrate value chains by internalization of resource trading.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s Vimpelcom and MTS are seeking new markets in CIS region based on their technologies and capital as firm specific advantages and UES of Russia could maximize efficiency by realization of economies of scale through investment to CIS region.
Russian companies are already in the level of multinational companies regarding the scales and activities, but to survive in an open environment in which globalization becoming, they should develop the system of decision making and long-term partnership with host countries based not on unilateral and governmental power, but on bilateral and companies’ interests.
본 연구는 러시아 기업들의 CIS 지역에 대한 직접투자의 배경과 목적이 거시적틀에서 러시아정부의 동지역에 대한 경제적인 영향력 확대의 목적과 부합하고 기업차원에서는 각 기업이 갖는 다양한 경제적 동인에 기인한 것임을 기업사례를통해 입증하고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특히 본 연구가 러시아 기업의 CIS 지역의직접투자에 대해 분석하려는 것은 러시아 정부가 과거의 역사적 유산으로부터 비롯된 CIS 지역에 대한 일종의 배타적인 기득권 의식을 지속적으로 표명하고 있고이러한 정부의 외교적인 의도가 러시아 기업을 통해 동지역에 투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경제호황과 국내시장에서의 성장성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많은 러시아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푸틴정부는 집권 이후 기업들에 대한 통제적인 영향력을 강화하였고이는 러시아 정부와 기업 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러시아 정부의 CIS 지역에대한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투사됨으로 기업의 동 지역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도록 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 글은 러시아 정부와 각 기업의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 정치적 이해관계가 러시아 정부의 CIS 지역에 대한 경제적인 통제력 강화라는 큰 틀에서 기업의해외진출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특히 러시아와 같이 정부부문과 민간부문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국가의 통제력이 큰 국가에서 정부의 이러한 의도는 기업에 대해 쉽게 침투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투자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러시아의 가즈프롬(Gazprom)과 루코일(Lukoil)이 CIS 지역에서 자원개발과 관련하여 추진 중인 많은 프로젝트는 자원거래와 관련한 거래를 내부화함으로 가치체계를 수직적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빔펠콤(Vimpelcom)과 엠티에스(MTS)와 같은 통신기업들은 CIS 지역을 신시장으로 개척하고 있는데 이는 이들 기업이 가진 기술,자본조달능력 등의 경쟁우위요소를 바탕으로 가능하였으며, 러시아 통합에너지 시스템(UES)은 CIS 지역에 대한 투자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있는데 이는 절충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러시아 기업들은 이미 그 규모와 활동범위에 있어서 세계 다국적기업들과 대등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이 글로벌한 경쟁환경에서 생존하려면정부의 영향에 의한 정책결정과 투자활동이 아니라 기업의 이익활동에 초점을 둔의사결정과 투자대상국과의 상호이익에 바탕을 둔 장기적인 파트너십 체계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3 | 0.604 | 0.3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