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 나타난 주력수행에 대한 고찰 = The Consideration of Vidi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6-213(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밀교경전인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 나타난 주력수행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력수행은 대개 다라니(dhāraṇi, 陀羅尼)를 포함한 경전의 독송방식에 그 주안점을 둔다. 그러나 이 경전의 주력수행은 독송의 방식과 더불어 결계(結界)라는 의식을 병행하고 설해지는 다라니와 진언의 종류에 따라 그 방식이 달라진다. 이러한 특징은 본 경전이 대승 경전에서의 다라니의 기능을 계승하면서도 밀교의 관상수행과 의식작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먼저 주력의 의미와 형태에서는 주력수행이 초기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어떤 의미와 형태로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여기서 주력수행은 세속적인 성취와 출세간적인 성취의 양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면적 특징은 밀교의 세속적인 성취인 호마법과 출세간적인 성취의 관법수행으로 연계된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불모대공작명왕경』의 주력 수행에서는 상(上)ㆍ중(中)ㆍ하(下)권에 나타난 주력수행의 방법이 설시된 진언ㆍ다라니에 따라 각기 독송, 억념(憶念), 수지(受持), 칭념(稱念)이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리고 주력수행자가 '불모명왕다라니(佛母明王陀羅尼)'와 '불모대공작명왕진언(佛母大孔雀明王眞言)'의 독송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공덕의 유형에 대하여 살펴본다. 공덕의 유형은 한편으로는 사람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재앙과 환란을 제거하고 수명의 장수와 안락을 말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곳에 거주하는 이들이 자비심을 일으켜 중생을 이익 되게 하고, 죄와 업장의 소멸로 인한 불법의 깨달음을 내포한다. 이처럼 『불모대공장명왕경』에서의 주력수행은 다면적인 주력수행의 형태를 보여주며, 세간적 성취와 출세간적 성취의 일미(一味)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a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vid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of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In general, vidyā power practice places emphasis on reading the Buddhist scriptures including dhāraṇi. However, vidyā power practice of this scriptures combines both reading and boundary mark ritual and its form is different from the type of the dhāraṇi and mantra given explanation in the scriptures. This characteristic means that this scriptures inherits the function of dhāraṇi in Mahāyāna sūtra and considers as having the elements of being able to develope visualization practice and ritual method(Homa).
At first, in the meaning and form of vidyā power practice examines it to having developed as a certain meaning and form from the Early Buddhism to Mahāyāna Buddhism. The vidyā power practice of this period has both values, that is to say, both the mundane aim and the transcendental aim. And these both values reveal the connection of the vidyā power practice for the mundane aim and visualization practice for the transcendental aim in Esoteric Buddhism.
Also in the vidyā power practice of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make clear the difference of the vidyā power practice, reading, smaraṇa, dhārayati, and grahaṇa, according to dhāraṇi or mantra explained in scriptures.
And the reading of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causes good deeds. For example, it removes all disaster, disarrangement occurring in people and gives long life, serenity to them. Futhermore, thanks to its practice, everything or everybody abiding everywhere causes a merciful heart and is beneficial for all living beings and at last all people achieve enlightenment.
At this points, vid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is including the various forms of vidyā power practice and it has the value of the sameness of both the mundane aim and the transcendental ai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OJOSASANG, Journal of Bojo Thought -> 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7 | 0.53 | 1.608 | 0.4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