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선교사들의 교육 사업 계획과 실천, 1884~1906 = The Educational Projects and Practices by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1884~1906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0.9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96(32쪽)
KCI 피인용횟수
6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Korean Repository와 The Korea Review는 개화기 재조선 개신교 선교사들의 초교파적 뉴스레터로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정보들을 풍부하게 담고 있는 자료이다. 본 연구는 두 잡지를 주된 자료로 삼아, 이 시기에 기독교 선교사들이 수행한 교육 사업의 목표, 실천의 내용, 성과와 한계 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교사들은 먼저 종래의 조선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조선인들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한 바탕 위에, 교육 사업의 두 가지 큰 전략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것들은 자유교육과 대중교육의 지향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실천 활동들이 이어졌다. 첫째, 종래의 교육에 결여되어 있던 ``현대문명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영어와 수학o과학 등의 교과들을 도입하고, 특히 체계적 관찰, 논리적 사고와 원리의 응용, 독자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사고를 길러 주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또 한글을 연구하여 교수o학습 언어로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보급해 나아갈 수 있는 중요한 토대를 닦았다. 둘째, 미션스쿨을 설립하여 신분과 성에 따른 제한 없이 입학의 문호를 대중들에게 개방했다. 선교사들의 계획과 목표는 대부분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다. 다만 조선인들에게 자유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납득시키지는 못한 것 같다. 교육의 내재적 가치가 원래 수단적 가치에 비해 쉽게 이해하고 납득하기 어려운 것인데, 선교사들은 자유교육을 교육적 이상으로 여기기는 했으되 그것에 대해 자주 그리고 열심히 설명한 편은 아니다. 여기에 급박하고 혼란했던 조선의 시대적 상황도 가세하여, 신식 교육을 원했던 개인들은 물론 여러 정파의 지도자들 그리고 정부 당국자들까지도 신식 교육을 대체로 수단적 관점으로만 바라보게 되었다.
더보기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ategies and activities of the educational projects by the missionaries and their outcomes by analysing the missionaries` articles appeared in their monthly periodicals, The Korean Repository and The Korea Review. It also tries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Korean education at that time and afterwards. The missionaries diagnosed the educational situations of Korea at that time before embarking their educational projects. Then they set the goals of their educational projects, first, to realize equ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second, to reinforce liberal education. To realize such goals, they actively deployed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the adoption of Hangul (Korean alphabet) as a medium of teaching. However, the Korean people did not responded as expected by the missionaries.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elites who supported open-door policy were interested mainly in using modern education provided only as a means of enhancing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capacity. Ordinary people also found in modern education merely good opportunities to obtain a job in governmental ranks and to get a higher salary. In short, Korean people only paid attention to and accepted the instrumental values of New Education, neglecting the intrinsic values cherished by the missionaries. Although the modern education in Korea was initiated and led by the missionaries partially at the least, Korean people did not accept it just passively; rather they actively accepted only the aspects of New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ctual needs. The missionaries brought visible models of modern education into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However,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them and the Korean people, they could not fully achieve their original educational goals. In this sense, it was a half success and a half failur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History of Education | KCI등재 |
2015-05-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History or Education -> History of Education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6-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교육사학회 -> 교육사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History or Education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56 | 1.466 | 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