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 토마스 아퀴나스 정치사상(1)
저자
박은구 (숭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3-430(38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성 토마스 아퀴나스 정치사상(1) 박 은 구 교황 레오 13세가 회칙 <영원한 아버지(Aeterni Patris)>를 반포한 이후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그 ‘공식성’으로 인해 외경적 권위주의적 풍토로부터 충분히 벗어나지 못했다. 정치사상의 영역 에서 이 ‘우둔한 황소(the Dumb Ox)’에 대해 자유롭고 비판적인 연구가 시도된 것은 1960년대 이후의 일이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요약한다면, (1) 아퀴나스는 그리스도교적 아 리스토텔레스주의자(Christian Aristotelian)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적 자연주의(naturalism) 및 합리주의(rationalism)를 가톨릭적 서유럽 사회에 최초로 소개하였다. (2) 한편 성 토마스는 교회와 국가의 협업을 변론했던 정치적 병행주의자(Political Parallelist)였다. (3) 그러나 그의 정치적 견해를 충분히 아리스토텔레스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는 넓 은 의미에서 그리스도교라는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했고, 그가 제공했 던 세속 정치권력의 자율성도 교회와의 보완적 분업체계를 그 조건으로 한 것이었다. (4) 성 토마스는 당대의 현안들에 관해 체계적인 정치적 담 론을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그의 중요한 정치적 견해들조차 기본적으로, ‘편의에 따라 부분적으로 재조직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반복이다. 따라서 그를 독창적인 정치사상가라고 보기는 어렵다. (5) 강한 목적론적 오리엔 테이션을 가졌던 성 토마스가 유럽 정치사상사에서 점하는 위상은 결국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등이 대표적인 평가들이다. 그러나 필자는 바로 여기에 성 토마스의 정치적 담론이 가지는 고유한 위상이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그의 공동선 이론(theory of common good), 법률적 정의론(theory of legal justice), 혼합정부론(theory of the mixed constitution), 정치적 관용론(theory of political magnanimity) 등은 진 정 미래지향적인 정치적 화두들이다. 특히 그의 법률 및 덕성에 관한 논 리들은 사회적 시민적 삶의 토대 그 자체에 깊이 뿌리박고 있어서, 국가, 자유, 정의, 평화 그리고 공익성 등에 대한 그의 담론들은 오늘날 우리들 에게 정치적 행위의 목표와 가치에 대한 새로운 지평의 이해와 성찰을 제 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성 토마스의 정치적 견해들이 실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분별력 있는 성찰의 원리”(principle of prudential calculation)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정치적 담론의 지평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그가 완강하게 추구했던 지적 원리, 즉 이성 대 계시(reason versus revelation)가 아니라 이성과 계시(reason and revelation)의 원리야말로 오늘날 위기에 처한 시장합리주의에 대한 치유책의 한 진정한 토대가 아 닐까 하는 것이다. 요컨대 필자는 아퀴나스의 정치적 견해가 오늘날의 정치이론가들에게 도 매우 유용하며, 아마도 관건적인 중요성조차 가진다고 생각한다. 냉혹 하고 무분별해서 대수술이 불가피해 보이는 현대 문명과 시장합리주의에 대한 정치적 성찰의 고전적 근거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 여기에 13세기 신학자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치적 견해들을 검토해 보 려는 이유가 있다.
더보기St. Thomas Aquinas’s Political Thought(1) Park, Eun Koo Since Pope Leo XIII announced the decree “Aeterni Patris”, research on St. Thomas Aquinas had remained pretty ‘official’ due to the authoritative tradition. It was only the 1960s that historians of political thought began to study ‘the Dumb Ox’ from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perspective. The agreements of recent studies, I guess,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 (1) Aquinas, as a Christian Aristotelian, firstly introduced aristotelian political naturalism and rationalism to the western catholic society. (2) Aquinas, as a Political Parallelist, was supporting the system of cooperative role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3) Despite St Thomas’ novel attempts to defend the autonomy of secular political power pursuing Aristotle, his political views are basically bound up by Christian faith and partial reorganization of Aristotle. In short, St. Thomas’s political views are not fully aristotelian, and not necessarily creative. (4) Aquinas did not seriously engage in the political discourses on major issues of his time. Thus it is hard to regard him as an independent and systematic political thinker, who has any real logical insistences on contemporary political themes. (5) As a political theoretician, Aquinas’ status has a place as akind of beginner for modern political philosophy. As far as futuristic political discourses are concerned, his status evidently has limits due to his strong teleological orientation. However, I believe that Aquinas’ political thought proves to be of great value. His views on the law, morality and life are deeply based on the socio-civic foundations of universal human life. And his theory of common good, legal justice, mixed constitution, and political magnanimity are, in particular, on future oriented political themes. Futhermore, our current understanding on political acts and their value can greatly benefit from Aquinas’ insights on the nation, freedom, justice, public utility, and peace, even though they are on the teleological conviction. Most importantly, St Thomas practically carried out the principle of prudential calculation, demonstrating its value to our current political arena. It also seems to me that his unique attitude on “reason and revelation”, instead of “reason vs revelation”, can shed light on the current crisis of market-rationalism, which is apparently blind, heartless, and indiscriminate. In conclusion, I argue that St Thomas Aquinas’s political ideas can be of pivotal importance to political discourses of our time. Because I think that the political views of “the Dumb Ox” of the 13th century would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various problems which have been inevitably brought about by blind human avarice, heartless market-rationalism, and indiscriminate modern civiliz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 | 1.34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