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민속학으로서의 구비문학의 정체성과 연구방향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3-133(31쪽)
KCI 피인용횟수
13
제공처
소장기관
민속학은 전근대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탄생한 학문분과이다. 그로 인해 전통을 통해 근대를 확립시켰으며 동시에 근대를 통해 전통을 재해석하고 재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 그런데 민속학의 연구대상이 과거의 것, 잔존민속이나 소멸 민속 쪽에 치우치다 보니 변화의 속도가 빠른 오늘날 문화상황 속에서 학문적 정체성이나 연구과제에 대한 새로운 탐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민속학이 수립되면서 학문분과로 자리잡은 구비문학의 경우도 마찬가지 상황에 놓였다. 더구나 한국의 구비문학 연구는 국문학 분과에 속하기 때문에 문학으로서의 구비문학, 민속학으로서의 구비문학 두 울타리 속에서 쉽게 정체성을 찾기 어려웠다.
민속학은 통시태와 공시태가 공존하는 학문체계이다. 따라서 민속학의 연구 방향은 이 같은 경계적 영역에 존재함을 인정하고 오히려 두 영역을 교차하며 역동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현대적 관점에서의 과거와 현대의 문화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민속학의 연구대상은 고정된 것이기 보다는 형태를 끊임없이 변화시키는 유기체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명사적인 접근보다는 형용사적인 접근, 이것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아니라 이것은 무엇을 재현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이 필요하다. 구비문학도 이 같은 맥락에서 학문적 정체성과 연구방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방향을 제기한다. 첫째 구술성에 대한 논의를 문학 텍스트의 형식적 차원을 넘어 인식론적 차원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구술ㆍ기록ㆍ영상 등 각종 매체 연구의 시각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구술 텍스트를 분석할 때 텍스트의 의미작용 차원을 넘어 담론화된 텍스트의 기호작용을 밝혀야 할 것이다. 셋째, 쌍방향성의 특성 하에 구비문학 텍스트의 생성ㆍ소통되는 연행맥락의 특징을 프레임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e folklore was born in the transition period of society from a traditional to modern one. So it has established the modern through the tradition, at the same time reinterpreted and constructed the tradition through the modern. However the object of research of folklore has a tendency to incline too heavily toward the old culture and remains of the past. But today, we already have seen many changes in our society, and the past and traditional culture begins to disappear. The folklore is confronted with difficult task, which is the quest for a identity and method of it’s own. The department of oral literature which came into begin at the same time built up the folklore has the same task.
The objects of research of folklore, folk culture inclusive of oral literature has diachronic and synchronistic feature. Therefore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has to research into syntagmatic-relationship and paradigmatic-relationship on folk culture and move transdisciplinary view-point and develop new method. I suggest three directions of oral literature research. First, we need to expand and deepen the research on orality working in the cognition system of transmission group through comparison between literary text. Second, we have to change view-point of media-research. Specially when we research into oral-text, we must try to clarify not merely signification but semiosis on the text in various discourse. Third, considering the distinguished feature interactivity in oral-text, we have to clarify characters of performable context through the view-point of frame theor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4 | 0.965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