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국가기관 간의 분쟁 해결 수단으로서 항고소송의 한계 = Limitation of the Appeals Litigation as a Means of Dispute Resolution between State Organizations
저자
정선균 (동국대학교 법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1-230(3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s the power structure is leveled, it is expected that a lot of new legal disputes will arise between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seek a suitable solution because it may cause a bigger dispute to give up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n the grounds that it can not be solved by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or the agency litigation. Of course, there may be a way to resolve a case by the revocation litigation like the case of the Gyeonggi-do Election Commission, but considering that the revocation litigation is basically a lawsuit filed by a citizen, who has been infringed by the exercise of the state’s public power, to receive relief, it seems inappropriate to use the revocation litigation as a means of resolving such legal disputes between state agencies. Therefore, I suggest the following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Article 111 (1) 4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uses the term, “State agencies,” but does not express them as constitutional institutions. In the sense that infringement of the authority granted by legislation can be sufficiently a reason for the claim of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it should also allow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of a general state organization, which is not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Next, it is necessary to abandon the legalism in agency litigation at the time of amendmen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nd to efficiently deal with disputes between various types of institutions through the agency litigation. Finally, if the legalism in agency litigation is maintained as it is now,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attitude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o deal with disputes between institutions that are not resolved through agency litigations by utilizing a party litigation rather than trying to resolve them with the revocation litigation like the case of the Gyeonggi-do Election Commission. This is because the party litigation is a lawsuit that resolves “the legal dispute over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in the public law”, so it can be a proper remedy for disputes between institutions that are contending for superiority.
앞으로 권력구조의 평준화가 진행되면서 기관 사이의 신종 법적 분쟁이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권한쟁의심판이나 기관소송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행정소송의제기를 포기하게 하는 것은 더 큰 분쟁의 소지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물론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사건처럼 취소소송으로해결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겠으나, 취소소송이 기본적으로 국가의 공권력의 행사에의하여 권익을 침해당한 국민이 이를 구제받기 위하여 제기하는 소송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국가기관 상호상의 법적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취소소송을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같은 대안을 제기해본다.
먼저 권한쟁의심판과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우리 헌법 제111조 제1항 제4 호는 ‘국가기관’이라는 용어만을 사용할 뿐 헌법기관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있으므로 법률상 부여된 권한의 침해도 충분히 권한쟁의심판의 청구사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헌법기관이 아닌 일반 국가기관의 권한쟁의심판의 제기도 허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차후 행정소송법 개정시에 기관소송 법정주의를 포기하여 다양한 유형의 기관간의 분쟁을 기관소송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금과같이 기관소송 법정주의가 유지된다면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사건처럼 취소소송으로해결하는 것 보다는 당사자소송을 활용하여 기관소송을 통해 해결되지 않는 기관간의분쟁을 처리하는 것이 우리 행정소송법의 태도에 부합하다. 왜냐하면 당사자소송은‘당사자 간의 공법상의 법률관계에 대한 법적분쟁’을 해결하는 소송이므로 우열관계를따지기 어려운 기관 상호간의 분쟁에 대해서도 적절한 구제수단이기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