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과정에서의 심미적 경험 고찰 = Aesthetic Experience in Artifi cial Intelligence Image Generation: Focusing the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98(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오늘날 예술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경제적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대중적으로 확장되고 인간의 노동력과 시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대체해 준 것처럼 일반인들에게 그 창작의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 인공지능기술의 획기적 발전에 따른 경제적 이익 이면에 인공지능으로 생성되는 이미지에 저작권과 실행 주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연구자가 직접 실제 그림을 그릴 때와 AI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때의 심미적 경험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인공지능이 챗GPT의 개발로 언어와 이미지 간의 데이터 정보처리 기술이 새로운 예술 창작의 지평을 열어주는 가운데 기존 예술교육과 차별화된 방향성 측면에서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세 가지 차원에서 언급될 수 있다. 첫째, 지식의 축적과 오랜 경험 학습의 산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유를 통한 창의력을 개발하는 것과 관련하여 인공지능으로 생성되는 이미지 창작은 인문학적 사유의 과정이 결여되어 있어 이에 대한 학습의 측면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주체성과 실행력에 관한 문제로 예술 AI 활용기술을 공학분야에서 가르쳐야 하는가, 아니면 예술계열 분야에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그 활용 주체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전문적인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과 관련한 교육의 대상과 그 대상에 따른 교육 내용과 방향 설정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예술교육에서 인공지능은 인지과학과 교육학 이론들과 방법들에서 어떤 종류의 교수법이 효과적이고 어떤 콘셉트들이 AI 학습에 요구되는지를 재고해 봐야 한다.
결론적으로 단순한 인공지능 기술만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이고 사회학적이며, 공학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교양교육으로서의 예술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강구해야 함을 알 수 있다.
Today, art is expanding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and opening up opportunities for creation to the general public, just as it has very effi ciently replaced human labor and time. Amid growing interest in copyright and execution subjects in images generated by AI behind the economic benefi ts of the breakthrough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esthetic experience when the researcher drew an actual picture himself and when creating images through AI programs.
With the development of ChatGPT utilizing AI, data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between language and images opens the horizon for new art cre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in three dimensions in terms of diff erentiated directions from existing art education. First, in relation to developing creativity through thought that can be made up of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long experiential learning, image creation by AI lacks a process of humanistic thinking and needs to be reinforced in terms of learning. Second, the subject of education related to the creation of professional AI images and the setting of educational content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are required through discussions on whether art AI utilization technology should be taught in engineering fi elds or in art fi elds as a matter of subjectivity and execution power. Finally, in art education, AI should drive a reconsideration of what kind of teaching methods are eff ective and what concepts are required for AI learning in cognitive science and pedagogical theories and methods.
In conclusion;with the development of ChatGPT;artificial intelligence opens up the horizon for new art creation through data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language and images;and the purpose and meaning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need to accommodate this change and transform in the practic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a time when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is requir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how that by identifying the unique attributes of art regardless of the major area;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valuable works;and providing aesthetic experiences;a new horizon must be devised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at enables humanities;sociological;and engineering combinations as well as simpl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