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서울 영등포구의 저영향개발에 대한 홍수 완화 전략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 = A Comprehensive Study on Flood Mitigation Strategies of Low-Impact Development in Yeongdeungpo-gu, Seoul
저자
마하라니 자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 김재경 (강릉원주대학교) ; 임 저스틴 희준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조경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3-95(1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의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서울시 영등포구의 홍수 완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상지를 산업지역(Block I)과 주거 및 상업 혼합지역(Block II)으로 구분하고, LID 시나리오 적용이 홍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옥상정원과 빗물 저금통같이 건물에 설치 가능한 저영향 개발 시나리오(Scenario I)와 투수성 포장, 침투도랑, 식생수로, 빗물정원 등과 같은 옥외공간에 설치 가능한 시나리오(Scenario II)를 총 6가지로 구분하여 LID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현재 서울시 영등포구의 배수 네트워크 지도와 과거 홍수 이벤트의 강우 데이터를 강수 시나리오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적용된 LID 시나리오는 Block I에서 유출량을 26.8%, 첨두 유출량을 7.5%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Block II에서는 유출량 21.1%, 첨두 유출량 12.6%를 저감하였다. Scenario I에 비해 Scenario II가 관망 노드 홍수 저감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시나리오간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축물 기반의 LID 시나리오는 표면 유출량과 첨두 유출량을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론 및 결과는 도시의 홍수 회복탄력성 및 미래 도시 설계에 기여 가능한 솔루션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Low-Impact Development (LID) scenarios in mitigating urban flooding in Yeongdeungpo-gu, Seoul, using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Two key areas, an industrial zone, and a mixed residential-commercial zone, were chosen to explore how different LID implementations impact runoff. The study considers six types of LIDs, including green roofs and rain barrels for building-based scenarios; and permeable pavements, infiltration trenches, vegetative swales, and rain gardens for open space-based scenarios. The drainage network map and historical rainfall data from previous flooding events were applied in SWMM for simulation modeling using different LID scenarios: building-based, open space-based, and combined LID methods. Results show that the combined LID approach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reducing runoff by 26.8% and 21.1% and lowering peak runoff volumes by 7.5% and 12.6% for Block I and Block II, respectively. These scenarios demonstrate that Scenario II has a more significant impact compared to Scenario I, despite the amount of coverage area. In general, building-based LID measures alone show the least reduction in both surface runoff and peak runoff volumes. The proposed approach offers a robust solution that can shape a resilient and livable urban fut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