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슐린종에 의한 측두엽 간질 발작 1례 = Temporal Lobe Epilepsy by Insulinoma : A Case of Persistent Abnormalities in Post-Operative EE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3.8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56-462(7쪽)
제공처
소장기관
저자들은 50대 여성에서 인슐린종에 의해 발생한 간질 발작에서 인슐린종의 제거 이후, 저혈당이 교정된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이상 뇌파를 보인 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간질 발작 이외에 저혈당의 일반적인 증상인 두통, 진전, 발한, 창백, 심계 항진 등을 거의 보이지 않아 오랫동안 측두엽 간질로 진단되어 항전간제를 사용하였다. 뇌파에서 좌측 측두엽에 이상을 보였고 인슐린종을 성공적으로 제거하고 저혈당이 교정되어 간질이 소실되었는데도 뇌파의 이상 소견이 지속되었다. 본 증례에서 혈당의 농도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환자가 전혀 저혈당의 증상을 느끼지 못하였다. 낮은 혈당에서도 glycosy Hb A1c의 농도가 정상에 가까워 뇌의 glucose uptake 가 유지되고 sympathoadrenal activation 과 counteregu-latory hormones으 반응이 감쇠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본 증례에서도 glycosy Hb A1c가 4.0%로 정상에 가까웠다. 저혈당에 의한 간질의 기전에 대하여서 간질의 역치를 감소시킨다는 설과 국소적인 뇌의 산소 소모를 감소시킨다는 설이 있어왔다. 최근에는 국소적인 뇌손상이 간질 유발의 원인이라는 설이 우세한데 excitotoxic mechanism으로 설명되고 있다. 증례에서 뇌파의 이상소견이 지속되었던 것은 국소적인 뇌 손상의 기전과 일치하는 결과로 생각되며 지속적인 뇌파의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insulinoma which was initially misdiagnosed as idopathic tem-poral lobe epilepsy with automatism. This patients did not show other hypoglycemic symptoms except seizure. It has been reported that some of the patients with insulinoma are unaware of hypoglycemia and are at increased risk for seizures and coma. These patients would have normal glucose uptake in the brain and consequently no sympathoadrenal activation would begin, resulting in an awareness of hypoglycemia. It this case, abnomal EEG pattern consistent with a complex partial seizure remained after successful operation. Recent reports indicate that hypoglycemia is capable of killing neurons in the brain . An endogenous neurtoxin is produced and is released by the brain into tissue and cerebrospinal fluid. Endogenous excitotoxins produced during hypoglycemia may explain the tendency toward seizure activity often seen clinically. We suggest that persistent abnormalities of EEG in this case may be related to focal neuronal damage in hypoglycemia.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