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스토리콘텐츠와 스토리텔링에 대한 성찰 : 개념, 이론, 영역, 범주에 관한 시론 = Reflection on Story Contents and Storytelling : Essay about Concept, Theory, Area, and Category
저자
안숭범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5-132(28쪽)
제공처
This study suggests a theoretical system for the productive progress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re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tory contents’ so as to cover a multi-layered narration phenomenon these days. Ultimately, after re-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of ‘story contents (recognition·study objects)’ and ‘storytelling (theory·methodology)’ bydistinguishing the concept of the two, this study proposes the area, category and story of interdisciplinary·intermedial storytelling theory.
The essential research of a story contents requires a discussion of the story as a main component, and the analysis about the discourse is important as a result of the story being put in order by organization. At this point, the discourse can be classified more in detail, where we can separate the particular layer (realization) that objectively reveals the narrativ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nagement of media custom and abbreviations. This calls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media-independent area (story), media-involved area (discourse), and media-dependent area (realization within the discourse). While this is about the intrinsic research about the story contents, research of communication model surrounding this is also required. Regarding that, this essay reflects on it by dividing it into a ‘linear narrative planning·enjoyment model’ and a ‘non-linear narrative planning·enjoyment model’. On the other hand, the essay intends to separate the ‘textual narrative world’ and the ‘possible story universe’ that flow between the planner’s intention and the reader’s experience, and figure out the implications within them. The point about the ‘disappeared story space’ and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is explained from that. Finally, academic topic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context of the story contents will be presented in detailed areas and categories.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의 생산적인 진전을 위해 이론적 체계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층화되고 있는 오늘날의 서사 현상을 포괄하고자 ‘스토리콘텐츠’ 개념을 상정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스토리콘텐츠(인식·연구 대상)’와 ‘스토리텔링(이론·방법론)’ 개념을 구별하여 양자의 관계를 재설정한 후, 간학문적·간매체적 스토리텔링 이론의 영역과 범주, 내용을 제안한다.
스토리콘텐츠에 대한 본질적인 연구는 핵심 구성 요소로서 스토리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이고, 스토리가 구성·조직되어 질서화된 결과로서 담화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여기서 담화는 세부적으로 다시 구분해볼 수 있는데, 매체 관습과 약호의 운용에 따라 서사 정보를 객관적으로 발현시키는 층위(구현)를 따로 떼서 볼 필요가 있다. 이는 매체 독립적 영역(스토리), 매체 관여적 영역(담화), 매체 종속적 영역(담화 내 ‘구현’)의 차이에 대한 논의를 요청한다. 여기까지가 스토리콘텐츠에 대한 내재적 연구라면, 이를 둘러싼 소통 모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그에 관해 본고는 ‘선형 서사 기획·향유 모형’과 ‘비선형 서사 기획·향유 모형’으로 나누어 성찰한다. 한편 기획자의 의도와 향유자의 체험 사이에서 유동하는 ‘실현된 서사 세계’와 ‘가능한 스토리 세계’를 구분하고 그 함의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로부터 ‘소실된 스토리 공간’과 ‘상상적 대화 공간’에 대한 논점을 해명한다. 마지막으로, 스토리콘텐츠 콘텍스트에서 파생할 수 있는 학술적 논제를 세부 영역과 범주로 묶어 제시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