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타이완 작가들의 ‘현실’ 인식과 재현 — 장원환(張文環)의 「夜猿」(1942)⋅ 뤼허뤄(呂赫若)의 「柘榴」(1943)를 중심으로 = ‘Reality’ and Re-presentation in Taiwan: Centering on “Night Monkey” (1942) by Zhang Wen-huan and “Pomegranate” (1943) by Lv He-ruo
저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3-360(3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Sino-Japanese War, triggered by the Lu-gou Bridge incident in 1937, had a profound impact not only on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m but also on the literary world. Colonial literary circl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aiwan were required to produce national literatures under literary control policies. Sharing similar political and sociological points of views, and as they both fall into the category of Japanese Empire colonial literature, a great deal of overlap could be observed in the responses to the demands of the colonial gover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aiwan.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re was a unique literary controversy in the Taiwanese literature circles of the 1940s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This is the controversy surrounding feces realism (糞現實主義) between Japanese writers in Taiwan and Taiwanese writers in 1943, which was criticized by Kudo Yoshimi. Japanese writers who were in Taiwan at the time criticized the literary works written by Taiwanese writers as being merely subordinate to romanticism, overwhelmed by emotions and over emphasizing the negative aspects of reality. However, it was also maintained that the negative aspects of the reality that were dismissed are also part of the reality of Taiwan, and so the Taiwanese themselves should not pretend not deny it.
In the two works discussed in this article, “Night Monkey” of Zhang Wen-huan and “Pomegranate” of Lv He-ruo, the reality of Taiwa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ality of ‘Taiwan’ expressed by Japanese writers in Taiwan, is revealed. “Night Monkey” borrows the eyes of a six-year-old narrator and paints the scenes of a farmhouse and a bamboo manufacturing factory in rustic colors. However, when the reader removes the limit of the gaze of the young child’s speaker and reads the events happening in the mountain farmhouse and the die-making manufacturing factory, the life of the ‘colonial’ Taiwanese is clearly revealed. On the other hand, “Pomegranate” is a work aimed at the writers who came from the time when the controversy of feces realism (糞現實主義) was taking place. The content of “Pomegranate” deals with the misfortune and brotherhood of the three Jin-pyeongs who cannot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The ‘war dynasties’, ‘Hwangmin’, and ‘war control system’, which dominated the discourse at the time, were concepts that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state’. In this way, writers such as Zhang Wen-huan and Lv He-ruo placed in their works the realities of the majority of the Taiwanese, which was distant from the ‘present’ reality recognized by poetry writers such as Mitsuru Nishikawa and Hayada Hamada.
1937년 루거우차오(蘆溝橋) 사건이 촉발시킨 중일전쟁은 식민지의정치사회적 영역뿐만 아니라 문학계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반도와 타이완의 식민지 문단은 문학보국을 내세운 문단통제정책에 따라 시국문학/국책문학을 요구받았다. 그리고 일본제국의 식민지 문단이라는 유사한 정치사회학적 지점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와타이완에서는 식민정부의 요구에 대해 상당부분 겹치는 반응이 발견된다. 하지만 1940년대 타이완 문단에서는 같은 시기 한반도에서 찾아볼수 없는 독특한 문학 논쟁이 있어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바로 1943년구도 요시미(工藤好美)의 평론이 불러일으킨 내지인 작가와 본도인 작가 사이의 ‘똥’ 리얼리즘(糞現實主義) 문학 논쟁이다. 당시 타이완의대표적인 내지(內地) 출신 작가 니시카와 미쓰루(西滿川)⋅하마다 하야오(濱田隼雄) 등은 본도 출신 작가들이 집필한 문학작품이 현실의부정적인 부분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감정에 빠져 허우적대는 낭만주의의 아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장원환(張文環)⋅뤼허뤄(呂 赫若)⋅양쿠이(楊逵) 등은 내지인 작가들이 질색하며 외면하는 현실의부정적인 면 역시 타이완 현실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본도 출신인 자신들은 이를 모른 척할 수 없는 것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두 작품 장원환(張文環)의 「밤 원숭이」(夜猿) 와 뤼허뤄(呂赫若)의 「석류」(柘榴)에는 내지 출신 작가들이 인식한 ‘타이완의’ 현실과는 다른 타이완의 현실이 재현되어 있다. 「밤 원숭이」는여섯 살짜리 어린 화자의 시선을 빌려 산속 농가와 죽지 제조 공장의정경을 전원적인 색채로 그려낸다. 그러나 독자가 어린 아이 화자가 갖는 시선의 한계를 걷어내고 산속 농가와 죽지 제조 공장에서 벌어지는사건을 읽어낼 때 ‘식민지’ 타이완인의 삶이 확연히 드러난다. 한편 「석류」는 뤼허뤄가 ‘똥’ 리얼리즘 논쟁이 한창 벌어지고 있는 시기에 내지출신 작가들을 겨냥한 듯이 발표한 작품이다. 작품의 내용은 인과를 설명할 도리가 없는 진셩(金生) 삼형제의 불운과 형제애가 전부이다. 당시 담론장을 장악하고 있었던 ‘전쟁총동원’과 ‘황민’, ‘전시체제’ 등은‘국가’를 주체로 하여 성립될 수 있는 개념들이었다. 즉, 뤼허뤄는 ‘국가’가 전면에 나서 사상과 행동을 지도하는 구도에서 의도적으로 ‘가족서사’를 꺼내든 것이다. 이처럼 장원환⋅뤼허뤄 등의 본도인 작가들은니시카와 미쓰루⋅하마다 하야오로 대표되는 내지인 작가들이 인정하는 ‘작금의’ 현실 — 대동아전쟁, 전시체제, 지원병 등 — 과는 거리가있는, 대다수 타이완인의 삶과 밀착된 현실/식민지로서의 타이완의 현실을 작품 속에 위치시켰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
2015-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2 | 1.317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