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재만 조선인 작가 심연수의 수학여행 관련 문학 사료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 Intertextuality in Korean Literature in Manchuria (1940) : An Analysis of Sim Yeonsu’s Travel and School Excursion Essay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5-279(35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deals with literary works of Simyeonsu, including his travel essays, the Sijo (時調) diary from his school trip (May 5-22, 1940). He published a series of travel essays in Manseonilbo based on three travel essays and Mujeokbo (無跡步), a compilation of sixty-seven handwritten poems. These works provide information on school trips and emotional attachment to place through travel. Through his works, readers can understand the migration and the emotional impact of Simyeonsu’s first steps on Joseon land. This paper analyzed the intertextuality among Simyeonsu’s works. It focuses on the gap between Manchuria’s educational ideal and students’ internalization of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essay writing. Using a cross-comparison of Simyeonsu’s handwritten manuscript and newspaper serial text, this study showed how censorship during Japanese imperialism affected his writing. Simyeonsu’s journeys elicited his emotions that fueled his writing, rewriting, and genre changes, but also led to moments of writing inactivity. He thus diversified his space for writing with contributions to Manseonilbo. During late Japanese imperialism, officials propagandized the spirit of five races under one union(五族協和) and the realm of peace and prosperity(王道樂土) to the Joseon people living in Manchuria. Simyeonsu’s writing revealed the difficulties of internalizing these ideas. His writings related to, and while on, school excursions also elucidate practical limits to Japan’s educational plans, which expose Joseon students’ inabilities to accept these ideas while living in Manchuria.
더보기이 논문은 재만 조선인 작가 심연수가 1940년 5월 5일~22일 수학여행을 다녀와 쓴 기행문과 시조 등의 문학 사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심연수는 수학여행 전후의 일기, 「일만 리 여정을 답파하고서」를 포함한 육필 기행문 3편, 이 육필 원고를 저본으로 삼은 『만선일보』 연재 기행문 「槿域을 찾아서」 1편, 육필 시조 67편을 모은 『無跡步』를 남긴다. 이 작품들에는 당시 수학여행을 둘러싼 사정, 재만 조선인 학생이 수학여행지로 들렀던 장소, 그곳에서 느낀 감상 등이 담겨 있다. 특히 그의 작품은 조선→만주가 아니라, 그 역방향인 만주→조선으로의 여행 기록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고향을 떠난 이민자가 국경을 넘어 다시 조선 땅을 밟은 때와 여행을 끝내고 만주로 돌아간 순간의 심정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심연수가 남긴 작품들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고, 만주국의 교육적 이상과 학생의 내면이 담긴 글쓰기 사이에서 발생한 간극에 주목했다. 또한, 육필 원고와 신문 연재본을 비교 대조하여 일제 말기 검열 환경이 심연수의 글쓰기에 미친 영향을 살폈다. 심연수는 이어 쓰기, 다시 쓰기, 장르 바꾸기뿐 아니라, 쓰지 않기로도 여행의 감정을 표현한다. 또한, 그는 자신의 글쓰기 공간을 이분화하여, 『만선일보』를 문인 되기의 수단으로 삼는다. 일제 말기 오족협화나 왕도낙토의 정신은 재만 조선인에게 지속적으로 교육되었다. 그러나 그의 글쓰기 방식은 그 신념을 내면화하는 일의 어려움을 드러내고 만다. 작가 심연수의 수학여행 관련 사료는 일제 말기 제국의 교육적 기획을 알려줌과 동시에 그 정치적 이상이 재만 조선인 학생에게 관철되지 못했던 정황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0.9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3 | 1.73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