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번계시고』에 나타난 풍석 서유구의 차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Pungseok Seo Yoo-gu's Tea Poetry Appeared in Beongyesigo
저자
조헌철 (부산대학교 산업대학원 국제차산업문화전공)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0-107(28쪽)
제공처
『번계시고』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1764~1845)의 유일한 한문시집이다. 풍석은 오랜 관직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시를 짓지 않다가 노년기에 들어서 시를 짓기 시작했다. 퇴임을 전후한 75~77세 때(1838-1840) 3년 가량 전원생활의 꿈을 구체적으로 실현해보기 위해 현재 서울시 강북구 번동에 해당하는 ‘번계’에 집을 짓고 살았다. 『번계시고』에는 이 시기에 풍석이 자제와 친인척, 그리고 당대의 명사들과 어울리며 주고받은 한시 940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풍석 본인의 시는 320 수인데 차나 차 생활에 대한 언급이 있는 차시가 21수이다. 차시는 ‘안빈낙도’ , ‘춘수모운’, ‘천인합일’ 등을 주제로 하여 차생활을 노래했다. 풍석은 차 문화 쇠퇴기인 조선 후기에 차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차에 관련된 많은 문헌들을 참고하여 『임원경제지』에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여기에는 당시의 차 산업과 차문화 발전을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또 차 생활을 통한 교유(交遊)와 감흥을 차시로 남김으로써 조선 후기 차 문화 부흥에 기여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Beongyesigo』 is the only collection of poems in Chinese by Pungseok Seo Yu-gu (1764-1845),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ungseok did not compose poetry during his long government career, but entered old age started writing poetry. Before and after retirement, at the age of 75 to 77 (1838-1840), he built a house in 'Beongye' and lived there for three years to realize his dream of rural life. 『Beongyesigo』 contains about 940 Chinese poems that Pungseok exchanged with his children, relatives, and celebrities at that time. Among them, there are 320 poems by Poongseok himself, which contain references to tea and tea life Tea poetry is 21. Tea poetry sang about tea life with themes of ‘Anbinlakdo’, ‘Chunsumoun’, and ‘Cheoninhabil’.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period of decline in tea culture. At this time, based on his deep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ea, Poongseok referred to many literature on tea and wrote 『Imwongyengjeji』. Here, along with professional contents about tea, specific methods for developing the tea industry and tea culture are also presented. In addition, he wrote poems about friendship and emotion through tea life. He can be said to be a tea man who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tea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