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2~4세기 사로권역 철기의 부장체계 조직화와 위세경제 소비 구조 = Organization of the Ironware Grave Goods System and Consumption in a Prestige Goods Economy in the Saro Area of the 2nd to 4th Centuries
저자
장기명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93-826(34쪽)
제공처
By structurally analyzing the burial context of ironware that was consumed ostentatiously in tombs from the 2nd to 4th centurie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production method,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network of the ironware, as well as the spread of associated burial rituals led by Saro-guk.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eremonial Ironware Style, large quantities of ironware were produced rapidly; it spread in conjunction with Saro-guk’s unique burial ritual, which spearheaded the ostentatious consumption of ironware, thereby establishing a wide-area distribution network. On the other hand, from this point on, the raw materials for Dalcheon mine were stably obtained from within the Saro-guk area,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Hwangseong-dong site. It is inferred that the Hwangseong-dong site was operated using a systematic division of tasks that specialized in the melting process related to cast iron produc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the large number of burial ironware types gradually simplified into difficult decorations to meet the broad demand of ironware both within and outside of Saro-guk. The iron production system also underwent innovative changes in the supply of iron, and the introduction of steel manufacturing technology allowed mass production of iron by breaking away from labor-intensive work processes, and led to effective reduction in transportation costs. The enlarged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network of iron was gradually transmitted 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eyond the territory of the Jinhan federation led by Saro-guk.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Silla’s ruling elite adopted gold burial goods and pottery styles as strategies for representation in tombs, and ironware lost its status as a major grave good.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mass consumption of ironware, organized by political power, had to adapt to new burial strategies and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더보기이 글에서는 2~4세기에 걸쳐 분묘에 과시적, 위세적으로 소비된 철기의 부장 맥락을 구조적으로 분석함으로 써, 사로국이 주도한 부장용 철기의 생산 방식, 유통·소비망, 매장의례 확산을 유기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2세기 중엽부터 철기 부장체계가 확대 개편되면서 ① 기존 철기 기종의 기술 교류와 형식 다양화, ② 위세적 철기 등장과 부장 차별화, ③ 의기성 철기의 양식 분립과 대량 부장이 간취된다. 특히, 의기성 철기 양식이 성립된 이후, 철모를 위시한 부장 전용 기종이 급격히 대량 생산되고, 철기의 과시적 소비를 선도하는 사로국 특유의 매장의례(屍臺 배치, 두부 부장)와 맞물려 확산되어 부장용 철기의 광역적 유통망을 구축한다.
3세기 중엽에 접어들면 철모, 단조철부, 유자이기와 같이 많은 수량이 소비되는 기종은 점차 제작 방식이 까다로운 공부나 궐수형 장식을 간소화하여 표준 형태를 만들었고, 사로권역 내·외부적으로 광범위하게 요구된 철기 수요를 감당해 냈다. 제철 생산 시스템 또한 철(기) 공급 면에서 혁신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초강 기술이 도입되면서 노동집약적 작업 공정을 탈피해 철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고 철광석 산지에 연계된 생산 거점(채광 → 제련, 용해 공정)을 설비하여 운송 비용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절감을 이끌었다.
4세기 전~중엽에 이르러 신라의 지배 세력은 금공품과 토기 양식을 분묘의 표상 전략으로 채택하였고, 철기는 주요 부장품의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철기 부장체계에서 부장 전용 기종이 주축을 이룬 의기성 양식은 사라지고, 철기가 대량 소비되는 양상도 급격하게 중단된다. 목곽묘 시기인 대략 150년에 걸쳐 부장용 철기의 유통과 소비는 위세경제 네크워크를 구축하여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불러왔고 정치 권력이 의도한 결과였다. 하지만 정치 권력에 의해 조직화된 철기의 대량 소비는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새로운 분묘 전략에 맞춰 가변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여실히 보여 준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