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효과적인 BAM 훈련에 관한 소고 = A Note on Effective BAM Training
저자
송요섭 (세계사이버대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170(46쪽)
제공처
다양하게 변화하는 문화와 급변하는 선교 환경에서 복음적이고전문적으로 실제 적용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에서BAM운동이 2007년도 처음 열렸으며 15년 정도 경과되었다.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선교지에서 적용가능하고 체계적인 BAM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교신학적인 훈련, BAM 훈련, 비즈니스 훈련에 대한 균형적인 BAM 훈련의 이론적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이다. 그리고 BAM 확장과 선교의 인적 자원 발굴을 위하여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BAM 훈련의 필요 요소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핵심주제는 BAM 훈련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반드시고려하고 적용해야 할 필수 요소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를 분석하여 실현가능한 모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위해 첫째, BAM 훈련은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황파악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BAM 참가자들이 BAM 훈련에 관하여 느끼는 만족과 불만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BAM 훈련에필요한 고려요소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method)은 ‘효과적인BAM 훈련을 위해서 선교신학, 선교적인 삶과 선교적인 비즈니스, 경영학의 훈련내용과 다각적인 교육적방법, 멘토링 & 코칭의 훈련방법과 매뉴얼 방식, 소달리티 & 모달리티의 훈련적용이 필요하다’이다. 연구결과는 선택코딩의 3개 상위범주인 BAM 훈련내용, 훈련방법, 훈련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택코딩의 하위 범주인 축 코딩으로 7개의 범주와 축 코딩의 하위범주인 개방코딩 32개가 도출되었다. 첫째, 훈련내용의 3가지 요소는 선교신학, 선교적인 삶과 선교적인 비즈니스, 경영학이다. 둘째, 훈련방법의 2가지 요소는 다각적인 교육적 방법, 멘토링 & 코칭이다. 셋째, 훈련적용의 2가지 요소는 매뉴얼 방식, 모달리티 & 소달리티의 적용이다. 향후 연구과제는 제시된 모델의 실질적인 효과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정량적 분석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변화하는 선교생태계에 대한 선교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이며 선교신학에 대한 복음적인 응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In the last twenty or so years, Business as Mission (BAM) has emerged as a new platform for today’s rapidly changing Christian mission environment. Businessmen are welcomed by governments and societies, where traditional missionaries are often denied access to their countries, suspected of their identities, and limited in their roles in their fields. Korean missionaries and Christians who are engaged in or at least interest ed in BAM seek training. While there are some BAM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it is not certain whether they are applicable and systematic.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a theoretical structure of a wholistic BAM training, which includes missiological, theological, and business aspects. In doing so, this research seeks the essential elements of BAM training, which is professional and effective, for the growth of BAM and the recruitment of BAMers. I have sought to present essential factors for effective execution of BAM training. For this, I have looked at three areas. The first part has dealt with how BAM training was conducted in South Korea. The second part has identified what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satisfied and dissatisfied within their BAM training. The third part has suggested what would need to be included in BAM training. I used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research. The grounded theory of this research is this: For a successful BAM training, it needs to deal with mission theology, missional life and business, business administration, to use multifaceted teaching methods, and mentoring and coaching, and to include manuals, and modality and sodality training. There were three categories in selective coding, the content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BAM training. These were drawn from seven categories of axial coding, which were again drawn from thirty two categories of open coding. BAM training needs to be comprehensive and reasonable, as BAM is not just a means of missionary work but a com prehensive and balanced missions platform for today’s mission context. Successful BAM training may be foundational for BAM church, enterpreneurial church, and flowing church.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