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크 베뉴 속성에 관한 연구 : - 일반 베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Unique Venue
저자
발행사항
성남 :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 관광경영학과 , 2022. 2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정아
UCI식별코드
I804:41005-200000600941
소장기관
Abstract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Unique Venue
Focusing on the Comparision with the Convention Centers and
Hotel Meeting Venues
Kim, Soojung
Advised by Prof. Kim, ChungAh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The MICE industry has received an increased recognition as a key player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ields around the world, and the competition for hosting MICE events is getting fiercer. Within the MICE industr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venues, and more importantly the quality of venues is emphasized for a successful and distinctive event. The opportunity for a unique venue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MICE events receives growing interest and attention from meeting planners and event organizers in their discovery and selection. It is believed that unique venue offers event attendees and participants new and novel experiences. Increasing demand and interest necessitates research to identify the attributes of unique venues, as opposed to general venues such as the convention centers and hotel meeting venues.
This study grounded on Lefebre's(1974) theory of social space aims to understand the MICE venue as not an absolute space with physical boundaries but a specific space formed by social networks. A venue becomes a specific place by giving meanings to an abstract space and is achieved by applying value through a MICE event and meeting. Underpinned by theory of social space and the theory of plac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stinctive attributes of unique venue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ers and professional planners. By investigating unique venues from the viewpoint of demand for MICE venues, this study informs unique venue providers with directions and systematic guidelines for entering the MICE industry and efficient operation.
Research in the unique venue area is still in its infant stage, so this exploratory research, initially develops four attributes of unique venue from the literature review: spatial attributes, cultural attributes, spatial experiential attributes, and venue attribut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which revealed spatial uniqueness, cultural placeness, space utilization, facilities, environment, and services as key factors of unique venue attributes.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between the general and the unique ven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venu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event type.
Of six key venue attributes identified (i.e. spatial uniqueness, cultural placeness, space utilization, facilities, environment, and services were derived as venue attribut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facilities, services, environment, and spatial uniqueness. Facilities, services, and environmental attribute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when selecting a general venue, but spatial uniqueness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for a unique venue. Cultural placeness and space utilization were considered important attributes when selecting both unique and general venues. This study found the attributes of spatial uniqueness and spatial utilization are consistent with the elements of the place identity theory, and it confirmed that cultural placeness was consistent with the cultural attributes of unique venue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Considering the type of MICE ev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 and cultural placeness. Environment was highly regarded in education meetings and exhibitions/fairs, and the perception of cultural placeness was important for banquet and educational meetings.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t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focused on the attributes of general venu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ttributes of unique venues compared to general venue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ers and professional planners. Interest in venues is increasing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discover and select unique venues to hold differentiated events and meetings in the MICE industry. However, there are two issues with utilizing the unique venue. Firstly, a unique venue is not a purpose-built such as a convention center or hotel venues; as such, there are many technical consideration when operating events and meetings at a unique venue. Secondly, unique venue providers who would like to enter the MICE business often have difficulties in selling their venues, because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of venues for MICE businesses and require further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MICE industry, event and meeting operation marketplace. I this regard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ly, this study suggests how unique venue providers can actively enter the MICE industry by identifying the attributes of unique venues. Those attributes perceived by the key organizers and professional planners in the event operation can offer an insight into venue offerings and business opportunities for the unique venue providers. Secondly, this study offers policy implications for utilizing and invigorating unique venues as part of the MICE industry. Finally, this study extends the knowledge of the MICE venue, and offers a foundation of futur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unique venue attributes as identified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ll allow the features and attributes of unique venue to be identified from the venue provider’s perspective enabling further empirical analysis to underpin policymaking and operations of unique venue.
전 세계적으로 MICE 산업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MICE 행사 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성공적이고 차별화된 행사개최를 위해 MICE 산업에서 베뉴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MICE 베뉴의 질적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유니크 베뉴는 MICE 행사의 차별화 전략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유니크 베뉴 발굴과 선정을 위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차별화된 행사 개최와 참석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유니크 베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베뉴와 비교하여 유니크 베뉴가 가진 차별화된 속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 사회학자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생산이론(Lefebvre, 1974)을 토대로 공간은 절대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이 아닌 사회적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구체적인 공간으로 보았다. 추상적인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여 구체적인 장소가 되고 MICE 행사와 같은 가치 부여를 통해 베뉴가 된다. 공간생산이론에서 의미하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닌 사회적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서 MICE 베뉴를 이해하고, 많은 학자가 제시해 온 장소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일반 베뉴와 차별되는 유니크 베뉴의 속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베뉴 수요자인 주최자와 전문기획자를 관점으로 유니크 베뉴가 가진 차별화된 속성을 규명하고 도출된 유니크 베뉴 속성 바탕으로 유니크 베뉴 공급자에게 MICE 산업 진출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향성 제시 및 체계화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적 속성, 문화적 속성, 공간 체험적 속성, 베뉴적 속성을 도출하였고, 유니크 베뉴 분야의 연구는 아직 이론적 측면에서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일반 베뉴와 유니크 베뉴와 베뉴 속성 간의 중요도 확인을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하였고, MICE 행사특성 중 행사종류와 도출된 베뉴 속성 간의 차이도 확인하였다.
베뉴 속성 중요도 연구결과, 공간적 독특성, 문화적 장소성, 공간 활용성, 시설, 환경, 서비스가 베뉴 속성으로 도출되었고, 일반 베뉴와 유니크 베뉴에서 시설, 서비스, 환경, 공간적 독특성에서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 베뉴 선정 시 시설, 서비스, 환경 속성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유니크 베뉴 선정 시 공간적 독특성을 일반 베뉴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문화적 장소성과 공간 활용성은 유니크 베뉴와 일반 베뉴 선정 시 모두 중요하게 고려되는 속성으로 판단된다. MICE 행사종류에 따른 베뉴 속성 연구결과, 환경과 문화적 장소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 측면에서 교육행사와 전시/박람회가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고, 문화적 장소성 측면에서는 연회행사와 교육행사에서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간적 독특성과 공간 활용성이 장소 정체성 이론 구성요소와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문화적 장소성은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유니크 베뉴의 문화적 속성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주최자와 전문기획자 관점에서 일반 베뉴와 비교하여 유니크 베뉴의 속성 도출 및 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국내외 선행연구들 대부분이 일반 베뉴의 속성 도출에 초점을 두고 있는 데 비해,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유니크 베뉴 속성을 도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MICE 산업에서 베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차별화된 행사개최를 위해 유니크 베뉴 발굴과 선정을 위한 큰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일반 베뉴인 전시컨벤션센터나 호텔 연회장과 같은 전문시설이 아니므로 선정 및 운영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 많다. 또한, MICE 산업에 새롭게 진입하고자 하는 유니크 베뉴 공급자의 경우 진출방법, MICE 베뉴의 필요사항, 행사 운영 관련 정보가 불충분하여 유니크 베뉴로 MICE 산업에 진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행사기획과 운영의 주체가 되는 주최자와 전문기획자를 대상을 베뉴 선정 시 유니크 베뉴 속성을 규명하여 유니크 베뉴 공급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정책적인 측면에서 유니크 베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학문적으로는 도출된 유니크 베뉴 속성 토대로 향후 유니크 베뉴 관련된 연구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주최자와 전문기획자 관점에서 유니크 베뉴 속성을 도출 및 실증분석하여 유니크 베뉴 공급자에게 베뉴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ICE 산업의 유니크 베뉴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니크 베뉴 공급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유니크 베뉴 공급자 관점에서 문제점을 인식하고 유니크 베뉴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유니크 베뉴 공급자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통해 유니크 베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