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명청시대부터 창저우시 청과항(靑果巷)공간의 변천 = The Spatial Changes of Qingguo Lane in Changzhou City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Chin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전통조경학회지(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26(1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중국 장쑤성 창저우시에 위치한 청과항(靑果巷)의 역사문화경관을 살펴보고 명나라 때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경관 변화와 거주민 사이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옛 고지도, 문헌과 현장 사진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조합하여 명청시대부터 청과항 경관 변천과정에 당시 거주자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해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과항의 발전이다. 1) 청과항의 명칭은 창저우부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과일 판매 장소로 잘못 이해되었다. 실제로는 주거 공간이었고, 시문에서 식생 경관을 묘사한 표현에서 유래되었다. 청과항이라는 명칭은 1879년부터 사용되었고, ‘천’과 ‘백’은 풍부함을 나타내는 수사였다. 2) 비릉당씨와 동가를 비롯하여 청과항은 명나라 때부터 청나라까지 줄곧 상류계층의 거주지였다.
둘째, 행정구역의 변화와 도로변천이다. 1) 명나라부터 청대에 걸친 창저우의 행정구역과 도로 변화를 통해 청과항의 공간과 도로 경관 변화를 분석하였다. 명나라 때의 청과항은 중우상, 서우상, 동우상 세 행정 구역에 걸쳐 있었으며, 청대에는 서우상과 동우상에 속하게 되었다. 청과항의 공간 구성은 명나라 때부터 현대까지 종교, 주거, 상업 기능이 변화하며 발전하였다. 2) 청과항의 주요 도로와 골목길은 명청 시대의 창저우성 구조와 유사한 종횡 구도를 나타내었다. 청과항의 주요 도로는 천희교에서 신방교로 이어졌으며, 남북으로 연결된 9개의 골목이 청과항의 역사문화공간을 형성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도로의 수가 증가하고, 주거 및 상업 공간으로 변화하여 현대 청과항의 모습을 형성하였다.
셋째, 청과항 상류계층의 문화경관 형성이다. 1) 청과항은 원나라 대학살 이후 도래한 평화 시대의 인구 이동과 인구 증가로 인해 발전하였다. 자연경관이 중시되어 문인들의 주요 거주지가 되었으며, 명청시대 청과항은 상업과 문화가 발달하여 창저우 상류계층의 새로운 주거지로 떠올랐다. 2) 명나라 말기부터 청과항은 상류계층의 정원 문화로 인해 사회문화적 명성을 얻었다. 상류계층은 상인과 문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시기, 이들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당씨와 동씨 가문이 청과항의 주요 상류계층을 형성하며, 청나라 중후기에는 상류계층과 비상류계층이 공존하게 되었다. 3) 청과항은 상류계층의 결집으로 인해 많은 문인과 상인들이 몰려들었고, 동시에 공간 내 정원이 조성되었다. 명청시대 문인들은 청과항의 독특한 문화경관을 형성하였으며, 현대 청과항은 역사문화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공간이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Qingguo Lane (靑果巷) in Changzhou, Jiangsu Province, Chin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in the landscape and the local residents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present. By analyzing ancient maps, literature, and field photographs, the research reveals that the resident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Qingguo Lane landscape.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aming of Qingguo Lane. 1) The name "Qingguo Lane" first appeared in the Changzhoufu and was mistakenly understood as a place for selling fruits. In reality, it was a residential area, and the name originated from descriptions of the plant landscape in poetry. 2) Qingguo Lane served as a residential area for the upper-class, including the prominent Bi-Ling Tang and Dong families, from the Ming Dynasty through the Qing Dynasty.
Secondly, changes in administrative divisions and road development. 1) During the Ming Dynasty, Qingguo Lane spanned three administrative regions: Zhongwushang, Xiwushang, and Dongwushang, later narrowing to Xiwushang and Dongwushang during the Qing Dynasty. 2) The main road of Qingguo Lane with nine alleys running north to south, form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reservation area of Qingguo Lane. Over time, the number of roads increased, and the area transitioned into a residential and commercial space, shaping the modern Qingguo Lane.
Thirdly, the forma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upper-class in Qingguo Lane. 1) The development of Qingguo Lane was influenced by population movements and growth during the peaceful period following the Yuan Dynasty massacres. The importance of the natural landscape attracted literati to settle there, and Qingguo Lane became a new residential area for the Changzhou upper-class as commerce and culture flourished. 2) From the late Ming Dynasty, Qingguo Lane gained social and cultural prominence through the garden culture of the upper-class. 3) The concentration of upper-class residents attracted many scholars and merchants, leading to the construction of numerous gardens. The literati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elped shape the unique cultural landscape of Qingguo Lane, and in modern times, it has developed into a prot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with diverse functions as a multifunctional complex.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