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공지능과 법률전문가의 대응 = A Role of Legal Exper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5-141(27쪽)
제공처
중단사유
※ KISS의 서비스 중단으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소장기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이르러 인공지능은 우리 사회의 전 영역에 침투해 갈 것이다. 법조 직역도 여기에서 예외는 아니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에서 목격한 것처럼 인공지능의 잠재성과 발전 속도는 인간의 예상을 뛰어 넘고 있다. 바둑에서 인간이 인공지능에 패배할 것이라고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하였던 것과 같이 법조계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공지능의 역량이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지, 향후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를 것인지를 연구해야 며 인공지능이 법률 전문가를 대체할 수 있는지, 대체한다면 어느 정도로 대체할 것인지에 대해서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단순히 인공지능의 역량을 탐구하는 데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법률 전문가가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에 대하여 그 본질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우리 사회가 법률 전문가에 대하여 법률 서비스에 대한 독점적인 지위를 부여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해 보아야 인공지능이 이러한 역할에 대해서도 법률전문가들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체가능성과 관련하여 인공지능의 역량에 대해 약한 인공지능, 강한 인공지능, 초인공지능으로 분류하여, 약한 인공지능의 수준에서도 법률문제 해결에 있어서 인간 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법률 전문직의 윤리성과 지식전문성이라는 측면으로 인해 다른 직업들 보다는 법률전문가들을 대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본다.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인공지능이 법률 서비스 중 단순, 반복적인 영역을 대체하여 법률 사무직 분야에서 단기적으로는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 예측하지만 기술혁신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와, 개인의 사적 영역에 대한 접근성, 인간의 창의성과 책임이 요구되는 영역에서의 일자리 증가로 장기적으로는 일자리 감소 효과가 상쇄될 것이라 본다.
인공지능의 위험성과 관련해서는 인공지능의 고의, 과실에 대한 책임문제, 해킹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문제, 제조물책임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가 현실화 되기까지는 앞으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기존의 법률로 앞으로 발생할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나 새로운 입법으로 해결하기에도 아직까지는 구체화된 문제가 없어 논의가 이루어지기는 시기상조라고 본다.
By th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penetrate into all areas of our society. It is not an exception in the legal area. As we have witnessed in the match between Lee Sedol and AlphaGo, the potential and evolu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surpassed human expectations. It is possible that the same phenomenon is likely to occur in the legal system, as nobody predicted that man would lo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Baduk.
Therefore, we need to study to what extent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ached its competence, to what extent it will be reached in the future, and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place legal professions. And not just concentrating on exploring the capabil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have to think about the nature of legal professions in our society. If we study the reasons why our society has given the legal professions an exclusive status of legal services, we can explore wh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not substitute legal professions.
In this paper, I classify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ultra intelligent machine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on, so that even at the level of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due to the ethics and knowledge expertise of the legal profession, it will be difficult to substitute legal professionals.
In relation to jobs, artificial intelligence replaces simple, repetitive areas of legal services, and predicts that jobs will be reduced in the field of law office workers in the short term. However, the effects of job creation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increase in jobs in areas where creativity and accountability are required will offset job cuts in the long run.
In relation to the risk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may be problems of responsibility for negligence, problems of hacking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duct liability, etc. However, it will take considerable time until such a problem is realized. Although existing laws have limitations in solving future problems, it is premature to discuss them because there are no specific problems yet to be resolved by the new legisl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