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참여민주주의의 공법적 실험과 그 공과 : 법현실적 평가 = The Experiments of the Participatory Democracy and their Merits and Demerits in the View of Public Law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2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5-255(41쪽)
KCI 피인용횟수
10
제공처
소장기관
‘참여정부’를 표방한 노무현 정부에 들어서 많은 실험이 행하여졌다.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해체하기 위한 많은 제도가 이루어졌고 사실상 성공을 거두었다. 참여민주주의를 표방한 참여정부는 참여를 통한 합의와 대립과 갈등의 조정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참여가 확대되었지만 분열과 갈등은 증폭되고 참여를 통한 통합은 성공하지 못하였다. 참여민주주의의 정당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투입면에서 국민의 자기결정과 산출면에서 내용적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노무현 정부의 몇 가지 실험에 대해 비판적인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국민참여경선제도’는 정당의 폐쇄적인 구조를 극복하여 상향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분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완전국민참여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는 책임정당의 포기나 다름없기 때문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이를 법률로써 도입하려고 하는 것은 헌법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한다. 둘째, 참여정부에서 실험되었던 ‘원회정치’는 그동안 정치에서 소외되었던 전문가와 시민사회세력을 수용하여 그 정책을 수용하려 하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방만한 운영, 중복적인 설치, 부처와 위원회, 청와대간의 마찰과 알력, 부처책임의 실종 등으로 인한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청와대 위원회는 여러 부처에 관계되는 중요한 과제에 한정하여 설치하고 한 부처의 관할에 속하는 과제를 위한 위원회는 관계부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노무현 정부에 시민단체의 참여확대 시민사회가 주장해온 정치적인 아젠다를 직접 자신의 손으로 관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으나 시민사회가 선점하고 추진했던 많은 정책적인 과제를 정부가 수용은 하였으나 추진은 하지 않음으로서 ‘의제의 진부화’를 초래하였고, 시민단체의 정부에 대한 비판기능이 약화되었다. 넷째, 지방정부에 대한 직접참여제도의 확대는 역대정부에서 미루어 왔던 과제를 수행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여민주주의는 그 자체로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어떤 참여민주주의인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누구의’, ‘어떠한’ 참여를 확대하는지의 여부가 중요하다. 조직화된 소수의 참여만 보장되고, 조직화되지 못한 다수가 소외되는 참여는 통합과 합의를 어렵게 하고 불신과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다. 가능한 평등한 참여가 보장되어야 하고 양적으로도 증가되어야 한다. 동시에 참여를 통한 의사결정은 내용적으로도 타당한 것이어야 한다. 아무리 국민들의 참여가 늘어도 정치의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국민들의 생활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 ‘참여정부’의 참여실험은 후자가 없는 전자는 포퓰리즘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고, 전자가 없는 후자는 권위주의적 국정운영으로 정치의 경직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을 교훈으로 남긴다.
In the period of president Moo-Hyun Roh a lot of experiments about citizen participation were made, This government called itself “Participatory Government”, because the Roh government was born by the strength of the people's power. But Roh government was not successful in coordinating social conflicts, In spite of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n public processes the expected integration through participation turns out a failure. The Roh government tried to realize the participatory democracy. For the assesment of democratic policies 2 criterions are suggested according to Lincoln's formula: governed by the people as input aspect, correctness of the substance as output side. In this article are dealt with 4 experiments of this government about the participatory democracy. First, the Experiment about nominating presidential candidate in a party. The primary election which was in 2002 presidential election introduced in korea was successful to overcome autocracy in a party. But it has a lot of problems: the previous election campaign which is prohibited according to Korean Election Law and confusion of identity of the party as political association occurred by participation of non-partisans. The party in power decided to introduce the open primary for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in 2007. It is not only against Korean Constitution but also not good for the integration in a party. Second, the Roh Government established too many presidential committee. It made weak the responsibility of competent ministers. Third, In the Roh Government a lot of activist of civil society joined as a member of presidential committee or attained important positions in administrative. It was not good not only for the government and but also for the civil society, because the critical functions of civil society on the government worked not good and lost its neutrality. Forth, the Roh Government established a system of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control it: recall, referendum, citizen lawsuit in local level.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6 | 1.025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