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주간보호시설과 주간활동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신체활동량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n a Day Care Facility and a Daily Activity Servi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7-89(1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Day care facilities and daytime activity services are being operat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DD, but their participation rates have not reached the target goals. Effective program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rates of facility use and service participation but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how facility use and service participation affect their quality of life must precede to effectively plan and operate the program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n the quality of life through self-efficacy in the day care facility use and daytime activity service of adults with DD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gram types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s. A total of 26 adults with DD who use day care facilities (n=9) and daytime activity services (n=17)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recrui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the researcher visited twice their programs to collect data. At the fist visit, GENEActiv accelerometer was distributed to objectively assess physical activity on the use of day care facilities and participation in day activity services for a week. At the second visit, the accelerometer was returned, and their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through paper questionnaires based on a 3-point Likert scale. SPSS (26 Ver.)-based PROCESS program using bootstrapping showed that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did not play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Types of programs did not significantly adju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However,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gender (moderated mediation effect: β=.28, BootSE=.17, 95% BootCI: .02∼.6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hysical activity levels of adult women with DD using day care facilities and daytime activity servic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utonomy and quality of life through self-efficacy.
더보기성인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이후 활동의 제한과 사회참여에 제약이 커지면서 정신적, 사회적, 신체적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여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 보건복지부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주간보호시설, 주간활동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서비스 이용과 참여율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이론에 기반하여 성인 발달장애인의 주간보호시설 이용과 주간활동서비스 참여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프로그램 유형과 성별에 따른 관계의 차이를 탐색하는 데 있다. 서울·경기 지역에 있는 주간보호시설(n=9)과 주간활동서비스(n=17)를 이용하는 26명의 성인 발달장애인을 목적표집법을 사용하여 모집하였고, 연구자가 각 기관에 총 2회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GENEAtiv 가속도계 사용하여 참여자의 신체활동량을 수집하였고, 3점 척도 기반 지필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효능감, 삶의 질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26 Version) 기반 PROCESS 프로그램 4번 모델과 7번 모델을 이용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분석 결과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량과 삶의 질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기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신체활동량과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8, BootSE=.17, 95% BootCI: .02∼.63). 본 연구 결과는 주간보호시설과 주간활동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 여성 발달장애인의 신체활동량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그들의 자율성 및 자아감 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