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김석범의 『만덕유령기담』과 4․3의 재현 = Representation of Mandeok Ghost Story(만덕유령기담) and 4․3 by Kim Seok-beom, a Korean Diaspora in Jap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5-162(28쪽)
제공처
재일조선인 작가 김석범은 총련을 탈퇴한 후 조국형 내셔널리즘과도 비판적 거리를 둔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의 정치윤리적 삶의 실재를 일본어 글쓰기로 표현해야 하는 래디컬한 탈식민주의 문학을 실천해야 할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는 제주 4․3항쟁을 무참히 진압하고 멸살하려는 세계악에 대한 대항권력으로서 창조적 저항을, ‘유령 기담(奇譚)’이란 제주 민중의 구연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의 서사적 재현을 「만덕유령기담」(1970)에서 시도하였다. 비록 「만덕유령기담」(1970)이 일본어로 쓰여졌지만, 「만덕유령기담」은 그의 필생의 역작 대하소설 『화산도』에 이르는 도정에서 김석범만의 탈식민주의로서 제국 일본문학에 대한 창조적 저항의 문학적 성취임을 주목해야 한다.
무엇보다 「만덕유령기담」의 집필 당시 한층 심화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의 정치윤리적 조건 아래 작품의 문제적 인물 ‘만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기담의 형식을 빈 구연적(口演的) 상상력의 힘은 이 작품의 서사적 매혹이 아닐 수 없다. 여기에는 4․3에 대한 서사적 재현이 바탕을 이루듯, 이것은 김석범의 4․3문학이 함의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적 시선에 의한 4․3의 서사적 재현을 나타낸다.
요컨대 「만덕유령기담」은 그의 단편 「까마귀의 죽음」 이후 점차 심화되는 4․3에 대한 서사적 탐구를 제주 민중의 구연적 상상력을 적극화한 ‘유령 기담’의 서사로 빼어나게 재현하고 있다.
After leaving Chongryon, Kim Seok-beom, a Korean writer in Japan, faces the task of practicing radical post-colonial literature, which has to express the reality of political and ethical life of the “Japanese Koreans Diaspora,” which is critical of the nationalism of his country, in Japanese writing. Thus, he attempted creative resistance as a counter-violence to world evil to brutally suppress and destroy the Jeju April 3rd Uprising, and an epic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diaspora in Japan based on the oral imagination of the Jeju people called the ‘Ghost Story’. Although Mandeok Ghost Story(만덕유령기담)(1970) was written in Japanese, it should be noted that Mandeok Ghost Story(만덕유령기담) is a literary achievement of creative resistance to imperial Japanese literature as Kim Seok-beom’s own post-colonialism on the road leading to Hwasando(화산도), his masterpiece of his writing.
Above all, the power of narrative imagination, which revolves around the problematic character Mandeok, is the epic fascination of this work, under the political and ethical conditions of the “Korean Diaspora in Japan”, which intensified when writing Mandeok Ghost Story(만덕유령기담). Just as the epic representation of 4․3 is based here, it represents the epic representation of 4․3 by the perspective of the diaspora of Koreans in Japan implied by Kim Seok-beom’s 4․3 literature.
In short, Mandeok Ghost Story(만덕유령기담) reproduces the narrative exploration of 4․3, which gradually intensifies after his short story The Death of the Crows(까마귀의 죽음) as a narrative of the ‘ghost story’ that activates the oral imagination of the Jeju peopl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