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honeme = 音素에 關한 硏究
저자
Kim,Chang-Ho (English Education)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5
작성언어
English
KDC
04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3-326(24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論文의 目的은 音素에 關한 종래의 理論을 體系的으로 考察하고 그 價値와 問題點을 現代 音韻論에 비추어 硏究하고자 함이다. 構造主義에서 發達한 音素 理論은 心理的·音聲的 機能的 實體로 보는 세 見解가 있으며 生成文法에서는 대체로 音素의 存在를 否定하는 立場이나 그 存在를 主張하고 價値를 易說하는 音韻論者도 많다.
音素는 意味를 區分할 수 있는 最小의 소리음으로 定義된다. 音素는 子音과 母音을 包含하는 分節音素와 强勢, 高低, 末尾連接, 內開連接을 包含하는 超分節音素로 나뉘어진다. Swadesh는 音素의 原理를 規定하고 있는데 最小對立과 相補的 分布, 自由變異, 同型性의 槪念을 體系的으로 硏究하였다. 相補的 分布란 예를 들면 氣息音 [??]는 spin의 │s │뒤에는 절대 올 수 없으며 非開放音 [??] 는 pin의 語頭에는 올 수 없다. 이처럼 異音이 自己 領域만을 지키고 남의 領域을 侵犯하지 못하게 된 分布 狀態를 相補的 分布라 한다. 自由變異란 同一한 環境에서 話者의 意思에 따라 바꿀 수 있으면서도 意味의 對立을 나타내지 않는 異音을 말한다. 예를들어 tip의 語末 │p │音素는 보통 非開放音으로 發音하지만 境遇에 따라 强한 氣息音으로 發音할 수도 있고 無氣息音으로 發音할 수도 있다. 同型性이란 예를들면 頭音과 末音 [??]와 [??], [??]와 [??], [??]등의 相補的 分布를 밝혀냄으로써 /p, t, k, b, d, g/의 音素를 樹立하게 되는 데 語頭와 語末의 이들 變異音들은 똑같이 音聲的으로 對照되며 平行된 方法으로 서로 對照된다. 이러한 分布上의 均衡을 同型性이라한다.
傳統的으로 音素는 세가지로 定義되는데, 첫째 Sapir(1925)는 心理的 實體로 보고 있으며 이 見解는 生成音韻論에 많은 影響을 미쳤다. 그는 音素를 把握하는 데 物理的 側面이 아니라 그 音을 使用하는 사람의 心理的 態度를 重視해야 한다고 한다. 즉 그 音이 屬하는 言語構造 속에서의 다른 음과의 關係나 心理的 距離 等에 依해 音素가 把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Bloomfield와 그의 追從者들은 音聲的 實體를 보고 있으며 즉 音素를 現實的 音波속에서 物理的으로 把握하려 했다. 셋째 Prague 學派는 機能과 構造의 觀點에서 對立에 根據한 機能的 實體로 보고 잇다. 特히 Trubetzkoy는 opposition을 强調하고 있는데 機能과 構造에 따라 a) multilateral, bilateral, isolated, proportional opposit-ions, b) privative, gradual, equipollent opposition, c) constant, neutralizable opposit-ion으로 나누어 考察하고 있다.
그러나 生成文法에서는 音素를 否定하는 데 Halle(1959)와 Chomsky(1694)에서 强烈하게 主張하고 있다. Halle는 러시아어의 例를 들어 音素 段階의 不必要性을 主張하고 있는데 音素 段階가 같은 役割을 하는 하나의 規則을 둘로 나누어 놓아 文法을 複雜하게 만들고 音韻 現象을 不可能하게 한다고 한다. 따라서 가장 一般的인 規則은 形態音素의 段階로부터 音聲段階를 直接 誘導하기 때문에 音素段階와 關聯된 中間段階는 없다고 主張한다. Chomsky는 規則의 順序를 使用한다면 不必要한 中間段階를 없애고 systematic phon-emic level과 systematic phonetic level로 一般性있는 音韻 現狀을 說明할 수 있다고 한다. 從來의 理論을 taxonomic phonemics라 命名하고 그 特徵이 되는 4가지 즉 linearity invariance, biuniqueness, local determinacy가 제대로 成立할 수 없으므로 音素를 否定해야한다고 主張한다.
이에 반하여 Wan(1968), Johns(1969), Schane(1971)等은 音素가 音韻 記述에 必要하며 重要한 存在라는 主張을 하고 있다. 이들은 音韻段階가 우리의 言語 能力의 一部이며 音聲段階보다 더 抽象的인 形態音素와 音素段階가 存在한다고 한다. Schane은 從來의 音素論과 生成音韻論的 見解를 批判하며 音素 形態는 規則의 機能에서 演繹될 수 있는 表面對照形態로써 特徵지어진다고 主張한다. 즉 音素는 音韻規則속에 있는 데 音韻規則은 音素規則과 音聲規則으로 分類된다. 形態音素規則에서 나온 表面 對照만이 音素的인 것이다.
音素의 存在를 認定함으로써 原語民은 單音들이 소리로 結合하는 過程에서의 直觀力을 所有할 수 있으며 音韻論이란 결국 基底型을 어떻게 쓰며 規則을 어떻게 設定할 것인가의 問題라면 音素의 存在는 必要한 것이다. 또한 가장 깊은 推象段階와 가장 얕은 推象段階 사이의 表面 對照의 知識을 認定함으로써 生成音韻論者들이 無視하는 言語學的으로 一般性있는 理論을 成立시킬 수 있다. 따라서 音素는 傳統文法에서 뿐아니라 生成文法에서도 重要하다 하겠다. 그러나 規則의 順序를 認定할 때 Chomsky가 말하는 一般性이 沮害됨이 없이 어떻게 音素段階를 認定해야 하는가 等의 問題가 남아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