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디스포지티프 영화의 다양한 가능성 = Various Possibilities of Dispositif Film
저자
김채희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 KIM, Chaehee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5-86(3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study begins with the necessity of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of film media and the inclusion of specific tendencies of contemporary films as post - cinema comes. Variable movements around recent films Challenging and experimental films show aesthetics that are difficult to approach with the analysis of classical mise en scene and montage. In this way, I review the dispositif proposed by Martin in films that are puzzling to criticize with the classical conceptual framework.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dispositive is a conceptual pile that extends more than a mise en scene and a montage. Dispositif films tend to be non-reproducible and non-narrative, but not all non-narrativef tendencies are dispositif films. Only the dispositif film is included in the flow. Dispositif movement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modern environment on which digital technology is based, but it is not a tendency to be found in any particular age. The movement has been detected in classical films, and the dispositif tendency has continued to exist in avant-garde films in the 1920s and some modernist films. First, for clear conceptualization of cinematic dispositif, this study examines the sources of dispositif debates that are being introduced into film theory today. In this process, the theory of Jean Louis Baudry, Michel Foucault, Agamben, Flusser, and Deleuze will help. The concept of dispositif was discussed by several scholars, including Baudry and Foucault, and today the notion of dispositif is defined across all these definitions. However, these various discussions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cinematic dispositif or dispositif films that Martin advocates. Martin's proposed concept reminds us of the fundamentals of cinematic aesthetics that have distinguished between the mise-en-scene and the montage. And it will be able to reconsider those concepts and make it possible to view a thing a new light or create new films. The basic implications of dispositif are apparatus as devices, disposition and arrangement,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ity. Thus, if you define a dispositif film in a word, it is a new 'constraint' consisting of re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the heterogeneous elements that make up the conditions of the classical film. In order for something to become a new design, changes must be made in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the elements, forces, and forces that make up it. Naturally, the elements encompas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se dispositif films have a variety of possibilities, such as reflection on the archival possibilities and the role of supervision, the reestablishment of active and creative audience, the reason for the film medium, and the ideological reflection. films can also 'network' quickly and easily with other media faster than any medium and create a new 'devised' aesthetic style. And the dispositif film that makes use of this will be a key keyword in reading the films that present the new trend of modern film. Because dispositif are so comprehensive and have a broad implication, there are certainly areas that are difficult to sophisticate. However thi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uture activation of dispositif studies end for end. Dispositif is difficult to elaborate the concept clearly, so it can be accessed from a wide range of dimensions and has theoretically infinite extensibility.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21st century film, the concept of cinematic dispositif will become a decisive factor to dismantle old film aesthetic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