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도 영유권과 장한상의 수토활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Jang Han-Sa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5-140(1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Japan views the historical records on Ulleungdo (Ulleung Island) written by Jang Han-Sang who was the first person to visit and survey the Ulleung Island. The Joseon government needed to investigate Ulleungdo due to the fear that Ulleungdo could become a Japanese territory as the Japanese illegally cut down pine trees and engaged in fishing on the island. King Sookjong of Joseon accepted chancellor Nam Goo-Man’s request and sent Jang Han-Sang (the leader of the Samcheok region) to Ulleungdo to explore the region. Jang went to Ulleungdo in 1694 September to survey the region and came back in October. Since this visit, regular patrol on the island took place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records on Ulleungdo provide valuable data not only for current research on Ulleungdo but also for sovereignty claims over Dokdo. Ulleungdo patrol during the Joseon dynasty started from 1694 by Jang Han-Sang, continued for about 200 years, and officially terminated in 1894. In Japan, however, the majority of researchers deny this fact. This is because Japan’s sovereignty claim over Dokdo is not strictly based on facts but rather is an immediate objection to Korea’s claims over Dokdo. Moreover, Japan’s disapproval of Jang’s records of Ulleungdo may be due to the difference in how Japan understands and views history. Thus, this paper points out that Japan’s argument is wrong, based on an analysis of previous works by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더보기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울릉도를 수토(搜討)한 수토관 장한상의 기록인 울릉도사적(鬱陵島事蹟)내용에 대해서 일본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장한상에 의한 울릉도 순찰계기는 일본인들이 울릉도에 불법으로 상륙해서 소나무를 베어가고 어업행위를 함으로써 울릉도가 일본의영토가 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조선정부는 국가차원의 울릉도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때 조선의 왕 숙종은 재상 남구만의 건의를 받아드려 당시 삼척첨사(삼척지방의 군대장) 장한상에게 울릉도 수토를 수행하게 하였는데, 장한상은 울릉도 수토를 위해 1694년 9월에 출항해 울릉도 일대를 조사한 후 10월에 귀항하였다. 장한상의 울릉도 수토를 시작으로 이후 울릉도 수토는 조선왕조 말기까지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다. 당시 장한상이 울릉도를 수토하고 남긴 기록은 현재 울릉도에 대한 역사 연구뿐만이 아니라 독도의 영유권 수호에 있어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지금까지 밝혀진 조선정부에 의한 울릉도 수토는 1694년 장한상 에서부터 시작되어 200여 년간 이어오다가 1894년에 공식으로 종료되었다. 그러나 지금 일본의 일부학자들 사이에서는 장한상의 울릉도수토에 대한 사실여부를 두고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이 대세이다. 이는 일본에 의한 독도영유권주장이 관련근거를 바탕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한국의 독도영유권 주장을 무조건적으로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 300여년이 훨씬 지난 장한상에 의한 울릉도 수토에 대한 역사적인 사실이 사료에 기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장한상의 울릉도 수토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한일 간에 역사를 보는 인식의 차이에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본 논문은 일본이 부정하는 장한상의 울릉도 수토와 관련해서 한일연구자들의 기존연구서를 바탕으로 일본의 주장이 왜 잘못인지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4-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4 | 0.725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