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SCIE
C1q nephropathy의 임상병리학적 소견 =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C1q nephropathy
저자
안신영 (서울대) ; 박재윤 (서울대) ; 이성우 (서울대학교) ; 정종철 (서울대) ; 정지용 (가천대학교) ; 오국환 (서울대학교병원) ; 김연수 (서울대학교) ; 안규리 (서울대학교) ; 한진석 (서울대학교) ; 김성권 (서울대학교) ; 문경철 (서울대학교) ; 주권욱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OPUS,SCIE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8-214(7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Purpose:C1q nephropathy (C1qN) is a rare glomerulonephritis characterized by mesangial deposits, predominantly C1q, without the evidence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It showed various clinical courses, however,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C1qN have not been well defined as yet.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11 patients (0.8%) diagnosed as C1qN among 1,403 patients aged ≥18 years who had undergone renal biopsy due to primary glomerular disease from Jan. 2000 to Jan. 2009. Diagnostic criteria of C1qN were as follows; 1) the presence of dominant or co-dominant immunofluorescence staining for C1q in the mesangium, 2) corresponding mesangial dense deposit by electron microscopy, and 3) lack of clinical evidence of SLE.
Results:The male-to-female ratio was 6:5 and their mean age was 41.1±22.6 yrs (range, 19-69 yrs). Eight patients presented with urinary abnormalities and three with nephrotic syndrome. At the time of biopsy, three patients had hypertension. The mean value of 24-hour urine protein was 4.4±5.5 g/day (range, 0.5-18.5 g/day). On light microscopy, normal glomerular architecture (4/11) and segmental sclerosis (7/11) were observed. Complete or partial remission was achieved in six of the seven patients treated with immunosuppressive agents (steroid and/or immunosuppressants). Among these patients, two using steroid monotherapy had relapse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4±11 months (range, 2-31 months) and renal function deterioration was observed in three patients.
Conclusion:C1qN showed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rognosis.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fully defin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목적:C1q 신병증은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증거가 없으면서 전자현미경에서 메산지움에 전자 고밀도 침착이 있고 면역형광검사에서 C1q가 발견되는 드문 사구체 질환으로 다양한 임상 병리학적 소견을 보인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질환의 명확한 특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방법:2000년 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신생검을 시행하여 원발성 사구체질환으로 진단된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1,403례 중 C1q 신병증으로 진단된 11명 (0.8%)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1q 신병증의 진단은 면역형광 검사에서 메산지움에 C1q가 두드러지게 관찰되며 전자현미경 검사에서 전자 고밀도 침착이 있고 임상적으로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증거가 없는 경우로 하였다.
결과:남녀 비는 6:5였으며 평균 연령은 41.1±22.6세 (범위, 19-69세)였다. 진단 당시 임상 소견은, 단백뇨 또는 혈뇨가 8례, 신증후군이 3례였고, 이중 3례에서 이전에 고혈압을 진단받았으며, 단백뇨는 평균 4.4±5.5 g/day (범위, 0.5-18.5 g/day) 였다. 광학 현미경에서 미세 변화성 병변이 4례, 초점성 분절성 경화 소견이 7례였으며, 고용량 스테로이드 단독 또는 면역억제제 병합 요법을 시행한 7명 중 6명이 완전 및 부분 관해에 도달했다. 이중 스테로이드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2명에서 재발의 소견을 보였다. 평균 14±11개월 (범위, 2-31개월)의 추적기간 중, 3명에서 신기능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C1q 신병증은 다양한 임상적 소견 및 예후를 나타낸다. 따라서 C1q 신병증을 하나의 질환으로 정립시키기 위해서는 질환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명확히 밝힐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 | 0.42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