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미세조류를 이용한 무폭기 부분 아질산화 = Partial nitrification using light and microalgae without aeration
저자
노종찬 ( Noh Jonhchan ) ; ( Le Linh Thy ) ; 장덕진 ( Jahng Deokjin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KDC
5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1쪽)
제공처
활성슬러지 공법 및 그 변형 공법은 물리·화학적 공정에 비해 저렴한 운영비 덕분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수중의 암모니아를 질산염으로 산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 폭기에 많은 에너지가 사용된다. 그러나 부분 아질산화를 통해 수중의 암모니아를 아질산염까지만 산화시키고 탈질을 통해 질소기체로 환원시킨다면 완전 질산화 후 탈질 대비 25%의 산소와 40%의 탄소요구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전 연구에서 Batch test를 통해 빛을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를 진행할 때 활성슬러지의 농도 400 mg/L, 광원은 LED모듈을 이용한 청색+녹색 혼합광, 빛의 세기는 3000 Lux 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밝힌 조건을 바탕으로 미세조류와의 공배양을 실시하여 빛과 미세조류를 이용해 무폭기 부분 아질산화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활성슬러지와 폐수는 수원의 S 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하였다. 채취한 폐수는 NH<sub>3</sub>-N 50 mg/L , alkalinity 500 mg/L으로 보충해준 후 배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partial Nitrification(PN) 슬러지는 연구실에서 600일 동안 ammonia oxidizing bacteria(AOB)를 농화시킨 슬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미세조류는 S 하수처리장의 실제 폐수에 빛을 조사하여 얻은 자연 발생된 미세조류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Batch test 형태로 수행되었으며 삼각 플라스크에 working volume 600 mL로 한 후 양 옆에서 LED 모듈을 통해 청색+녹색 혼합광을 3000 Lux로 조사하고 교반 강도는 100 rpm으로 일정하게 하였다. 활성슬러지와 PN 슬러지는 400 mg/L 로 조절하여 접종하였고 미세조류는 0 mg/L ∼ 150 mg/L로 조절하여 접종하였다. NH<sub>3</sub>-N, NO<sub>2</sub><sup>―</sup>-N, NO<sub>3</sub><sup>―</sup>-N는 각각 Standard method 4500-NH<sub>3</sub> F, 4500-NO<sub>2</sub><sup>―</sup> B, 그리고 HACH method 1002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활성슬러지와 미세조류를 함께 접종했을 때, 미세조류를 접종하지 않고 기계적 폭기로 산소를 공급한 실험과 비교했을 때 아질산염의 상대적 생산속도는 0.70, 질산염의 상대적 생산속도는 1.25 로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나, 암모니아의 상대적 제거속도는 1.33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고, 미세조류의 biomass concentration이 40 mg/L일 때, 부분 아질산화 측면에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PN 슬러지 400 mg/L와 미세조류 40 mg/L를 접종했을 때, 활성슬러지와 미세조류를 접종했을 때 보다 암모니아의 비 제거속도는 2.15배, 아질산염의 비생산속도는 3.66배, 질산염의 비생산속도는 0.90배로 뛰어난 부분 아질산화 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빛과 미세조류를 이용한 무폭기 부분 아질산화는 가능하며, 활성슬러지 및 PN 슬러지와 미세조류의 mixed liquor suspended solids(MLSS) 비율은 10 : 1 (400 mg/L : 40 mg/L)에서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해당 연구의 batch test 결과를 바탕으로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CSTR)에서 배양할 경우 안정적으로 무폭기 부분 아질산화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