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명을 기반으로 한 소비체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onsumption Experience Design Based On ShinMyeo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95-507(1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Reflecting recent consumption trend in which psychological satisfaction becomes more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emotion ‘exhilaration(神明)’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ption experience, which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in understanding Koreans and positive emotion for enjoying culture. This paper is a basic study to examine the context of modern consumer culture, and to explore how potential elements of ‘exhilaration’ can be utilized in the interface where customers and brands meet in order to improve customer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in value-oriented consumer society, with the aim of research and analysis of related consumption cases. This study largely approaches this process in order of 'concept of exhilaration and consumption', 'role of exhilaration in modern consumption experience', 'exhilarating consumption types and cases' and 'design directions to use exhilaration’. First, the concept of exhilaration illuminates the cultural sentiment which extends from religious mystical experiences to artistic and daily experiences, which, in these modern days, is a kind of joyful and vital positive experience as a part of daily lives and activities. It becomes clear that, in recent consumption trend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emotional relevance by providing experiences close to the 'autotelic personality' and enhance sentimental immersion through satisfaction. Sinc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modern society such as sense of emptiness, anxiety and impairment of self-value caused by the maximization of modern productivity are the phenomenon of the creation of peculiar Korean ethos ‘Han(恨)' due to destruction of Korean emotion ‘Jeong (情)’, we need transformative experiences of dissolving the ethos ‘Han' to awaken inner vitality from ‘Han’ to ‘exhilaration’. In this study, types of exhilarating consumption experiences conceptualize ‘exhilaration’ as a kind of consumption experience, and the study classifies the relation between the attributes of exhilarating consumption experiences and brands into 4 types of consumptions, which are self-realistic consumption, amusing consumption, collectiveinterpersonal consumption and ritual consumption, and explains them with examples of consumption experience.
더보기본 연구는 정신적인 만족감이 중요한 최근 소비트렌드를 반영하여, 예부터 한국인을 이해하는 중요한 특성이자문화를 향유하는 긍정적 정서인 ‘신명(神明)’을 소비체험 관점에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현대소비문화의 맥락을 고찰하고, 가치 중심의 소비사회에서 고객의 소비체험과 커뮤니케이션을 향상하기 위해 고객과 브랜드가 만나는 접점에서 신명의 잠재적 요소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를 타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와 관련된 소비사례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진행체계는 크게 ‘신명과 소비의 개념’, ‘현대 소비체험에서의 신명의 역할’, ‘신명나는 소비유형과 사례’, ‘신명을 활용한 디자인 방향’ 의 순서로 접근하였다. 먼저 신명에 대한 개념은 종교적인 신비체험에서 예술적, 일상적인 체험으로 확대되어 현대에는 일상영역이나 활동에 있어 그것의 일부가 되어 나오는 일종의 즐겁고 생동감 넘치는 긍정적 체험이라는 문화적인 정서에 조명하고 있다. 최근 소비트렌드는 ‘자기목적적(autotelic) 성격(M. Csikszent mihalyi, 1990)’에 가까운경험을 제공하여 브랜드와 감정적 관련성을 증가시키고 만족감을 통해 정서적 몰입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해졌음을 알 수 있다. 현대 생산성의 극대화에 따라 나타난 공허감과 불안, 자기가치 손상 등의 심리적인 특징들이현대사회에 있어 정(情)의 파괴로 인한 한(恨)의 맺힘 현상이라면, 한에서 신명으로 내면의 생명감을 일깨우기위해 한을 푸는 전환적인 체험이 필요하다. 신명나는 소비체험 유형은 신명을 일종의 소비체험으로 개념화하고, 신명나는 소비체험의 속성과 브랜드 관련성을 자아실현적 소비, 유희적 소비, 집단적·대인적 소비, 제의적 소비, 이 네 가지 유형으로 각 소비체험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