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대 문헌에 보이는 ‘方’, ‘邦’, ‘或’, ‘邑’의 규모 정립 = A Study of Defining the Scale of 方, 邦, 或, and 邑 in Ancient Texts
저자
박성우 (국립순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9-268(30쪽)
제공처
고대 문헌 기록을 살펴보면, 일정한 지역이나 영토를 보유하고 통치 조직을이룬 사회단체를 통칭할 때 보편적으로 '方', '邦', '或', '邑'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字書 혹은 주석서에 따르면, 네 단어는 공통적으로 '국가'라는 의미와밀접히 관계되어 그 규모의 차이나 사용 방식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며, 문헌을 살펴봐도 같은 단어가 서로 다른 문맥에서 다르게 사용되었거나, 다른 단어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역사적 기록에서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중원 지역이 중심되어 주권 '국가'의 개념으로 변화되기 이전에 연합체 성격의 여러 집단이 일대에 밀접히 생활하였고, 각 집단의 특성과 상황 즉경제적, 사회적, 군사적, 법적 측면에 따라 유대 관계를 달리했을 것이다. 다시말하면 문헌에 집단을 표시할 때 영토, 군사, 경제 등 여러 조건에 따라 규모를달리했을 가능성이 높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전제를 바탕으로, 문헌에 기록된 '方', '邦', '或', '邑' 의 규모를 파악하고자 전사에 의존한 전래문헌의 한계를 벗어나 조자의 의도가 반영된 출토문헌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들 네 단어의 제한된 범위를 추적해보았다. 특히 殷商 甲骨文과 西周 金文에서 확인할 수 있는 문자와 용례를 중심으로 네 단어가 내포하는 의미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 분석하고, 東周시기 이후의 紙上 문헌의 기록을 적극 보조 참고하여 고대 동아시아 정치체 집단의 영향력과 공간적, 사회적, 정치적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자료를 통해 네 글자의 본래 의미와 용어의 확대를 이해하고, 고대 집단의 조직 체계와 고전 문헌의 체계적인 해석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Ancient texts commonly use the Chinese characters 方, 邦, 或, and 邑 to refer to the social groups that occupied a certain region or territory and formed a governing organization. According to Zìdiǎn or its annotations, the four characte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eaning of “state,” and there i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ir scale or usage. Even in the literature, the same character is often used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s, or different characters are used for the same meaning, which makes it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ir meaning accurately in historical records.
Before Zhongyuan (Central Plain) took center stage and turned into the concept of a sovereign “state,” however, many groups under confederates lived close to each other, and their relationships would have differed depending on their economic, social, military, and leg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when these groups were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they were likely to be scaled differently based on their territorial, military, economic, and other conditions.
To understand the scale of 方, 邦, 或, and 邑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based on the above premise, this article traces back the limited scope of these four character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excavated texts that reflect the intended meaning of the authors beyond the limitations of surviving literature reliant on transcrip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meanings of the four characters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and their usage found in oracle bone scripts in the Shang Dynasty and bronze inscriptions in the Western Zhou, and uses records after the Eastern Zhou as a supplementary reference to prepar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and spatial, social, and political scale of polities in ancient East Asia.
In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four characters and the expanded use of the terms and systematically interpreting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ancient groups as well as ancient litera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