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뷰티헬스케어행동, 미적 이미지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영향의 관계에 미치는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외적인 미(美) 외모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경쟁력으로 인식되고 자기 자신을 타인에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며, 각 개인의 성별, 인종, 연령, 직업 등까지도 인식할 수 있는 하나의 판단기준이다. 사람의 신체적 모습이나 외모의 특징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사회화 과정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신체 및 외모를 스스로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신체의 미적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자기 존중감이 높아지고 불안은 낮으며 긍정적인 인식,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심리적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외모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이상적인 외모를 아름답게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뷰티와 헬스에 대한 케어는 증가하고 새로운 미적 욕구를 위해 뷰티헬스케어관련 산업이 빠른 추세로 발전하고 다양한 소비층이 형성되었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로 시대의 가치에 따라 변화되는 이상적인 외모관리에 뷰티헬스케어행동과 미적 이미지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하위요소로 가족영향력, 친구영향력, 대중매체영향력을 통하여 심리적 영향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뷰티헬스케어행동 및 미적 이미지간의 간접적인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각 변수간의 유의미함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여 바람직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형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뷰티헬스케어산업현장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표본선정 자료 수집은 일반인과 미용서비스산업 종사자를 구성원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903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 처리 방법으로 SPSS 25.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측정 요인별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인과관계로 적립된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공분산구조분석을 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도출하였다.
    첫째,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제1요인은 피부미용행동(.590)이며, 제2요인은 헬스관리행동(.626), 제3요인은 화장품사용행동(.684), 제4요인은 건강기능성식품(.530)으로 정
    의하였다.
    둘째, 사회문화적 태도의 제1요인은 가족영향력이며(.608), 제2요인은 친구영향력(.620) 제3요인은 대중매체영향력(.752), 제4요인은 외모영향력(.584), 제5요인은 신체매력(.632)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중 사회문화적 태도의 요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대중매체영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영향의 제1요인은 업무자신감(.819)이며, 제2요인은 대인관계적극성(.715), 제3요인은 심리적 안정감(.746)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심리적 영향의 각 요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업무자신감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1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뷰티헬스케어행동(=0.542,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는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뷰티헬스케어행동(=0.593, p<.001)에 직접 효과가 유의 하였다.
    다섯째, 가설2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미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미적이미지 (=0.530, p<.001)에 직접 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미적이미지 (=0.535, p<.001)에 직접 효과가 유의 하였다.
    여섯째, 가설3의 미용인은 사회문화적 태도가 심리적 영향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태도의 요인인 가족, 친구, 대중매체, 신체매력, 외모영향의 사회문화적 압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심리적 영향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일반인은 사회문화적 태도가 심리적 영향(=-0.214, p<.001)에 직접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가설4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미적 이미지가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뷰티헬스케어행동(=0.267,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뷰티헬스케어행동(=0.324,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여덟째, 가설5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미적 이미지가 심리적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심리적 영향(=0.341,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심리적 영향(=0.395,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아홉째, 가설6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뷰티헬스케어행동이 심리적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뷰티헬스케어행동은 심리적 영향(=0.407,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뷰티헬스케어행동은 심리적 영향(=0.585,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열째, 가설7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영향 간의 관계에서 뷰티헬스케어행동과 미적 이미지의 매개검증결과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뷰티헬스케어행동과 미적 이미지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영향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문화적 태도의 요인인 가족, 친구, 대중매체, 신체매력의 압력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인 피부미용관리, 체중조절, 메이크업 등의 외모관리행동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뷰티관리행동을 통하여 지속적인 외모관리행동이나 외모에 더 깊이 있는 확대나 심층화를 통해 삶의 질이 부정이 아닌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통하여 자기관리와 외모관리행동을 하게 되면 내면화가 높아지므로 심리적 영향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뷰티헬스케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프로그램개발과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7
    • 3. 연구의 구성 8
    • Ⅱ. 이론적 배경 9
    • 1. 뷰티헬스케어행동 9
    • 가. 뷰티헬스케어행동의 개념 9
    • 나. 뷰티헬스케어행동의 구성요인 10
    • 2. 미적 이미지 18
    • 가. 미적 이미지의 개념 18
    • 3.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20
    • 가. 사회문화적 태도의 개념 20
    • 나. 사회문화적 태도의 구성요인 23
    • 4. 심리적 영향 31
    • 가. 심리적 영향의 개념 31
    • 나. 심리적 영향의 구성요인 31
    • 5. 선행연구 36
    • 가. 뷰티헬스케어행동 36
    • 나. 미적 이미지 37
    • 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38
    • 라. 심리적 영향 39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40
    • 1.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40
    • 가. 연구모형의 설계 40
    • 나. 연구가설의 설정 41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2
    • 가. 뷰티헬스케어행동 42
    • 나. 미적 이미지 42
    • 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43
    • 라. 심리적 영향 43
    • 3. 연구방법 45
    • 가. 정성적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45
    • 나.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50
    • 다. 설문지 구성 51
    • Ⅳ. 실증분석 52
    • 1. 자료의 분석방법 52
    • 2. 인구통계학적 특성 53
    • 3.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56
    • 가. 연구도구의 요인구조의 탐색 56
    • 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63
    • 다. 상관관계 분석 90
    • 4. 가설의 검증 92
    • 가. 확인적 요인분석 92
    • 나. 구조모형 검증 96
    • 다. 최종 모형에 의한 연구가설 검증 98
    • 라. 매개효과 검증 104
    • Ⅴ. 결론 110
    • 1. 연구결과요약 110
    • 가. 확인적 요인분석결론 110
    • 나. 최종 모형의 의한 연구가설 검증 112
    • 2. 연구의 시사점 117
    •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18
    • 참 고 문 헌 119
    • 부록(설문지) 140
    • 감사의 글
    더보기
    • 1 한병철, "아름다움의 구원", 문학과 지성사, pp. 25-40, 2016
    • 2 김혜수, 허혜경, "청소년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3
    • 3 양윤, 황선진, 임숙자, 이종남, 이승희, "현대의상사회심리학", 서울: 수학사, 2002
    • 4 Schilder, P, "Theimage and appearance of the human body",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재인용, 1950
    • 5 박진수, "6차 산업 가공식품 촉진전략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pp. 22-23, 2019
    • 6 강여주, "직업 무용수의 신체 이미지 분석", 한국체육철학회지, 15(3), 257-271, 2007
    • 7 홍기태, "미학의 관점에서 본 (심)미적 태도", 한국미술교육논총. 22(3), 49-82, 2008
    • 8 전신현,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학회지. 25. 63-82, 1996
    • 9 임만수, "직장 내 대인관계능력향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p. 7, 2008
    • 10 이민선,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 과 박사학위논문, p. 46, 2001
    • 11 차경호, "한국일본 및 미국 대학생들의 삶의질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1, 115-143, 1995
    • 12 윤상민, "30대 여성의 발레 체험을 통한 미적가치 탐색", 영남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석사학위논문, p. 14, 2016
    • 13 김래수, "“뷰티산업 육성에 관한 정책 네트워크 분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 원 보건관경학과 박사학위논문, p. 24, 2011
    • 14 정이영, "성인여성의 체중조절시 행동기 및 심리적 특성", 용인대학교 재활보 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15 노은임, "장자와 칸트에 있어서 미 개념: 실천미와 반성미", 동양고전연구, 34(34), 339-362, 2009
    • 16 윤소영, "“여대생의 외모관리에 대한 의식 및 태도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1, 2007
    • 17 김용숙, 김정애, "여고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 교육학회지, l4(1), 55-73, 2002
    • 18 구민정, "대학 교과과정에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의 만족도", 부경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7
    • 19 박옥련, 이하나, "남성의 연령별 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 피부미용학회지, 13(6) 891-901, 2015
    • 20 정세화, "애착안정성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학교적응", 숙명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21 최은숙,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메이크업 테라피 효용성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0, 2012
    • 22 김정자, 김진, "고령세대의 환경과 헬스 케어 시스템 주택에 관한 연구", 한국 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4) 925-930, 2012
    • 23 송혜진, 오세연, "대학생의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중독에 관 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0(2), 56-82, 2013
    • 24 김미혜, "대학생의 가족체계, 자아 존중감 및 대인관계간의 관계",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004
    • 25 이수정, "여대생의 대인불안 자기효능감 및 신체상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 대학교 여성연구소, 19, 161-181, 2004
    • 26 박정하, "미용인의 직업가치관이 전문성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 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피부미용전공 석사학위논문, pp. 8-23, 2014
    • 27 이경진, "복부관리요법이 여성의 복부비만 및 미(美)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 학교 미용예술학과 미용예술학 전공 박사학위논문, p. 11, 2016
    • 28 김지윤, "볼링선수의 자신감이 경쟁불안과 경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 2011
    • 29 김세은, "앙트러프러너십에 따른 미적행동 및 뷰티사업화역량 연구", 영산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30 김근향, 윤지원, 육근영, 박지혜, "여대생의 신체상 지각 불일치와 심리적 안 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4(4), 665-682, 2009
    • 31 이승아,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체육과학학회지, 16(4), 341-350, 2007
    • 32 이정순, 한경희, "여대생들의 체형에 대한 인식과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11(4), 111-119, 2007
    • 33 공영길,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34 이은형, "직장여성들의 피부미용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 및 태도조사", 숙명여 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전공 석사학위논문, p. 7, 2005
    • 35 신다영, "웰니스 관광 활성화를 위한 뷰티헬스케어 인프라 방안 연구", 건국대 학교 대학원 디자인조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 36 송경희, "헤어디자이너들의 피부관리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 조사", 남부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37 장혜선,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 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p. 13, 2014
    • 38 김성천, 김정우, 김용석, 김용석, "청소년 음주행위의 실태 및 변화와 관련요 인들에 관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47, 71-106, 2001
    • 39 고석주, 정진경, "외모와 억압 -문화적 관념의 내면화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 향", 한국여성학, 8(1), 33-70, 1992
    • 40 이혜은, "중학생의 주말체육 참여 동기가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2005
    • 41 임정재, "헬스케어 개념을 적용한 휘트니스센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건축도시 대학원 실내설계전공 석사학위논문, p. 31, 2016
    • 42 김인옥,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뷰티관심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성 대학교 예술대학원 뷰티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 43 이정민, 장혜선,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신체이미지와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9(6), 1174-1185, 2013
    • 44 고애란, 심정은,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연 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334-1345, 1997
    • 45 김인화, 임자영, "여자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 체중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화과학학회지, 2010, 111-112, 2010
    • 46 이원돈, "국민건강증진 운동정책의 실태와 운동실천촉진 방안에 관한연구", 건 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9, 2007
    • 47 김혜란, "남녀 청소년들의 외모만족도와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개념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18
    • 48 강민수, "남자대학생의 미의식과 외모관리 태도 유형에 따른 신체관리 행동", 서경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p.7, 2017
    • 49 강희화, "바움가르텐의 미학사상과 무용미(美)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 50 고희자,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
    • 51 김정숙, "자기애성향과 신체 존중감이 뷰티관리 및 헤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52 황정선, "직장여성의 사회적 매력 제고를 위한 인상관리 교육프로그램 설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53 박찬석, "미용성형수술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대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54 김봉인, 장서지, "미용성형수술을 통한 미적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주관성연구 학회", 통권 제21호, pp. 163-177, 2010
    • 55 최은영, "남성의 외모관심도 집단별 뷰티편익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상학과 석사논문, 2015
    • 56 조미라, "초등학생 남녀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또래관계, 자존감의 차 이 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57 강평미, "『사회성,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 남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의류학전공 박사학위논문, pp. 90-91, 2017
    • 58 김은정, 이혜원, 이미숙, 김재숙, "신체이미지가 체중조절 및 외모관리 행동과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2, 20-36, 1999
    • 59 김영미, "남성의 외모성공지향이 미용관리행동과 외모향상추구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60 김유진, "무용전공대학생의 자신감이 몰입경험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2013
    • 61 김신희, "범이론적 모형을 이용한 대학생들의 피부관리실천행위 변화단계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 2015
    • 62 최은희, "아동학대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6, 2002
    • 63 박혜원, "자기표현, 외모관리행동 및 외모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64 공영희, "중년여성의 헤어스타일이 자아 존중감 및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65 김경영, 이은주, 안선레, 배유경, 김수미, "에센스 화장품학. 서울: 메디시안. 김계수. (2013).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6
    • 66 김교령, "우울한 기분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부위별 피부관리의 효과 비교 분 석", 경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67 오 별, "중 고등학생의 뷰티관심도와 정보탐색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p. 14, 2012
    • 68 안채리, "남자대학교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69 이명희, 전경란, "심리적 영향, 신체만족도와 심리적 특성이 외모향상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6), 643-653, 2003
    • 70 김종학, 최보영,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지, (17)1, 135-162, 2015
    • 71 장미숙, "여성의 외모관리와 체형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노인의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 72 정성훈,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013
    • 73 이수현, "헤어미용종사자의 대인관계성향이 직무만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헤어전공 미용예술학 박사학위논문, p. 7-12, 2019
    • 74 강남순, ": 대학생의 신체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 및 미용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 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9(1), 63-80, 2011
    • 75 오은택, "건강운동 참여가 체력수준과 건강위기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76 고은혜, "국내 화장품 브랜드샵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주)에뛰드 사례 중 심으로",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77 박광희, "인지연령,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6(7), 756-766, 2012
    • 78 장혜선, "20∼30대 남성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의욕에 미치 는 영향", 아시안뷰티화장품학회, 12(6), 805-812, 2015
    • 79 김영미, 현선희, 송형삼,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션학회지, 32(4), pp. 33-46, 2008
    • 80 조 은, "여성의 화장행동이 대인관계 및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효용에 대 한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2003
    • 81 손가진,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 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1, 2012
    • 82 정소희,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자아존중감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 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뷰티융합학과 석사학위논문, pp. 50-51, 2018
    • 83 김명자, "무용수들의 신체적 지각과 신념이 자기가치 및 심리적 안정감에 미 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 84 이숙영, "중년여성의 심리적 특성과 외모에 대한 태도가 피부관리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2004
    • 85 윤나리, "초등학교 고학년의 연예인 동조현상 유형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학교 생활 적응",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 86 김선일, "호텔산업노동자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87 정호일, "연관 상황 모델과 유사도 군집분석을 이용한 마이닝 기반의 헬스케 어 추천방법", 상지대학교 일반 대학원 컴퓨터정보공학 박사학위논문, p. 6, 2016
    • 88 이정렬, "운동, 생활체육의 생활습관 위험요인 감소효과 측정을 통한 건강증 진 전략개발", 보건복지가족부, 2004
    • 89 김반야, "관계적 인간의 형성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자녀의 대인관 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박사학위논문, p. 93, 2015
    • 90 박은정, 정명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과 신체이미지가 외모향상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6(5), 549-561, 2012
    • 91 이건희, 하경연, "청소년기 외모관리행동이 대인관계 및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니트디자인학회지, 14(3), 38-47, 2016
    • 92 홍금희,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 미지의 영향", 한국의류학회, 30(2), 348-357, 2006
    • 93 이하나, "남성의 연령별 가치관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외모만족 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94 김지양, "여대생의 자기이미지와 미디어관여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 95 이정화, "중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대인관계지향성이 눈 이용 동기와 몰입 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아동심리치료학과 석사학위논문, p. 6, 2019
    • 96 김효정, "20 30대 여성들의 가치관에 따른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과 뷰티 관리 행동 실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헤어전공 박사학위논문, 2016
    • 97 서화숙, 송정아, "여대생의 신체적 특성에 따른 신체만족도 및 의복만족도,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329-335, 2004
    • 98 최영숙, "입소 여성노인의 시각적 뷰티케어 프로그램과 촉각적 뷰티케어 프 로그램 효과 비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노인의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p. 10, 2009
    • 99 설현진,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뷰티행 동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2009
    • 100 김경순, "세기말에 나타난 메이크업의 경향 : 컬렉션 메이크업과 브랜드 메이 크업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6(3), 527-550, 2000
    • 101 양도현, 허정록, "여성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미용 성형 수술 경험을 중심으로", (사)아시아문화학술원, 8(4), 1315-1332, 2017
    • 102 김동연, 김인옥, "한국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신체이미지, 미적관심 및 뷰티관리 행동의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1), 111-124, 2019
    • 103 이은영, "내현적자기애와 심리적 안녕감 정서인식,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경 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
    • 104 양유나, "무용예술 전공자의 외모 관련 사회 문화적 태도 및 관리 행동이 무용 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
    • 105 최나홍,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성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건강신념수준 과 건강행동실천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06 홍재기,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여대생의 사회문화적 압력요인에 따른 건강 행동실천에 관한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107 성영신, "박은아, 이주원, 김운섭. 아름다움의 심리적 권력: 성별, 영역별 미 권력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0(3), 461-488, 2009
    • 108 김해선,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문화 및 개인목표 행동적 접근",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109 현원정, "직장여성의 외적 이미지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메이크업. 헤 어, 패션을 중심으로", 국제문화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110 신석영, "눈썹화장의 감정반응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외모만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뷰티보건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 111 박소애, "외모관리행동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 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112 황희성, "유튜브 뷰티동영상 특성이 10-20대 여성의 뷰티관리행동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113 이민경, "신 중년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신체이미지와 외모관 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문화 디자인학회, 42, 167-180, 2015
    • 114 황윤정,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 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톡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115 서동철, "대학생의 롤 모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신감과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벤처중소기업학과 석사학위논 문, p. 7, 2014
    • 116 김주하, "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피부미용 관심도에 미치 영향: 행동형을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2018
    • 117 최재우, "여행사 관리자의 리더십과 종사자의 개인주도성이 심리적자본과 조 직유효성에 미치는 여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118 김영희, "중장년층 핵심자기평가에 따른 퍼스널 이미지메이킹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119 이주미, "중년남성의 미용건강관리행동이 신체매력지각, 자아 존중감 및 대인 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120 유나연, "피트니스 지도자의 신체이미지와 정보제공에 따른 여성의 운동 참여 욕구와 지도자의 신뢰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9
    • 121 나인경, 조정호, "유아의 외모관심도와 체형불만족도에 따른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또래 및 부모경험", 미래유아교육학회, 20(1), 299-322, 2013
    • 122 박은정,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신체이미지 및 신체불만족이 외모향 상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p. 1, 2012
    • 123 백규리, "대학생의 외모만족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이 비만스트레스 및 식 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석사 학위논문, pp. 11-12, 2018
    • 124 전현진,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객체화된 신체의식 및 신체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 125 남정숙, "감성리더십이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과 박사 학위논문, p. 31, 2011
    • 126 유태순, 황윤정,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체중 및 의복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4(11), 1923-1932, 2010
    • 127 노선옥, "대인관계성향, 생활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및 화장동기의 관계연구 : 20, 30,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 위논문, 2011
    • 128 박은아, "신체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과 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vol 22, No. 2, 35-56, 2003
    • 129 문영숙, 이병관, "외모인식과 미용성형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사 회 비교와 자기자비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8(2), 193-219, 2017
    • 130 이효신, "청소년의 성별과 프로필기반 SNS 이용양상에 따른 외모에 대한 사 회문화적 태도의 차이에 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석사학위논문, pp. 12-15, 2016
    • 131 주경숙,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다 요인 인성검사와의 관련성 탐색",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32 임미지,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및 심 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8
    • 133 신효정, "현대여성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질적 연구: 화장, 헤어스 타일. 신체이미지, 성형수술, 의복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134 유인애,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지각이 심리적 행복감 및 자자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35 김유진, "헬스참여 성인 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대 인관계,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36 이정윤, 조희경,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과 여자 청소년의 이상섭식 행 동의 관계: 신체 비교와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학국청소년상담원, 18(1), 2010
    • 137 이종호, "노인의 생활체육이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노인복지학과 노인복지학전공 석사 학위논문, 2015
    • 138 송형삼,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의 관계 : 청주지역 피트니스 센터를 중심으로",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139 김 윤, "사회문화적 압력, 미적 고정관념의 내면화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신체만족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40 백인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 자아존중감, 자기애의 매개 효과와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 141 권지현, 유연재, 김완석, ": 신체가치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모에 대 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0(3), 581-600, 2009
    • 142 이지영, "피부관리에 대한 태도, 규범, 행동통제가 피부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식, 경험, 연령 및 결혼여부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박 사학위논문, p. 19, 2012
    • 143 임수진, "외모관리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 여성의 외모 및 신체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특 수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pp. 70-71, 2017
    • 144 문희강, 이현화, "신체이미지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력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다이어트와 운동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한 미 여대생 비교", 복식문화 학회지, 26(5), 806-821, 2018
    • 145 조성실, "사회문화적 압력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섭식관련 인지왜곡을 매개로 하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임상심리학 전공", 문학석사학 위논문,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