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EU의 국가 안보 근거 외국인 직접 투자 규제 규칙도입 논의 및 한국에 대한 함의 = EU’s Proposal for Regulation to Screen Foreign Direct Investments for National Security and Its Implication to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28(22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ational security concern in many countries resulting from investment in critical technology and/or important infrastructures through investment by state-owned enterprises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China. While United States and Canada maintain systems to screen, monitor, or even reject foreign investment in strategic industry or critical infrastructure, there was no such EU-wide system until recently. As a result, the European Commission submitted a proposal for regulation to introduce mechanism for the European Commission and the Member States to monitor and scr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with security and public order implications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The Proposal provides that the European Commission and other Member States may issue their opinions on the proposed and completed foreign investment projects which may affect security and public order to the host Member State, and the Member State must put considerable weight on the opinion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In addition, major EU Member States also introduced similar mechanisms in their merger review rules or an independent legislation.
In case of Korea, Article 5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provides for investment review mechanisms similar to the US CFIUS. However, it is not invoked in practice. In addition,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s Merger Review Guidelines does not explicitly provides for the national security as a factor for consideration, so that the KFTC is not required to consider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order in the merger review process.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for the KFTC to introduce explicit rules to introduce national security (including defense industry, technology and important infrastructures) as a factor to review proposed mergers.
Also, it may be helpful to introduce an investment monitoring system similar to the proposed EU-wide mechanism in the regional trade agreements like the RCEP or CPTPP. In particular, introduction of information sharing mechanism between Member States and the European Commission under Article 8 of the EU’s Proposed Regulation into Asia with some modification to fit to the Asian context may work to harmonize the foreign investment-related laws in the region.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두가 되는 이슈중 하나는 중국을 위시한 후발 개도국의 국유기업들이 선진국의 첨단산업 또는 인프라스트럭쳐 프로젝트를 인수함으로서 발생하는 국가안보 우려이다. 이에 미국은 CFIUS (Committee o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캐나다는 Investment Canada Act 상 Foreign Investment Review 제도 등을 통해서 일정 규모 이상의 전략적 산업 분야의 외국인 직접 투자를 허가 또는 거부할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비해서 EU의 경우 개별 회원국 차원의 투자 검토 제도는 일부 시행되고 있으나, EU 전역에 적용되는 투자 검토 및 제한 제도는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EU 집행위원회에서는 2017년 9월 13일에 EU 차원의 투자 규제 메커니즘 도입을 위한 규칙안을 유럽의회 및 EU 이사회에 제출함으로서 관련 입법 절차가 시작되었다.
동 규칙안은 특히 EU 집행위원회와 회원국이 EU 및 회원국의 공공질서 및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해 완료 여부에 상관없이 투자 대상국에 의견을 제시하고, 투자 대상국은 이를 중요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점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EU 주요 회원국들도 기업결합심사 규칙 또는 독립된 법규로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투자촉진법 시행령 제 5조에서 CFIUS와 유사한 국가안보 근거 외국인 직접 투자 규제 제도 근거규칙을 도입했으나, 실무적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도 기업결합심사시 비공식적으로 국가안보 및 공공질서를 심사 요소로 검토할 수는 있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명문의 규칙이 없기 때문에 공정위가 이를 검토하지 않고 기업결합을 허가해도 막을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국 및 EU, 또한 각 회원국들의 제도를 참조해서 특히 국방, 첨단기술, 중요 인프라스트럭쳐 관련 기업결합심사에 대해서 국가안보 및 공공질서를 중요한 심사요소로 도입할 명문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RCEP 또는 TPP 등 아시아 지역 역내 협정의 투자 Chapter에도 EU의 제도와 유사한 모니터링 제도를 도입해서 역내 국가들 간의 외국인투자의 안보 위험을 공유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EU 규칙안 8조의 협조 체제 중 안보 및 공공질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국인투자에 관한 정보 공유 조항은 아시아 지역의 context에 맞게 도입한다면 역내 외국인투자 관련 법규를 조화 (harmonize)시킬 수 있는 제도로 기능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국제경제법학회 ->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영문명 : International Economic Law Association of Korea ->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0.91 | 1.373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