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약자 측면의 도시철도 환승역 환승보행 서비스수준 평가방법 연구 = Development of a Method to Evaluate Level of Service for Transferring Pedestrian Vulnerable in Urban Railway Stations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교통관리학과 , 2022. 8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ⅴ, 64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동민
UCI식별코드
I804:11035-000000033695
소장기관
우리나라 교통약자는 총 인구대비 약 30%에 육박하며 그 비율은 해마다 늘어가는 추세이다.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지칭하는데 최근 그들의 이동권 향상을 위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교통약자 이동복지에 대한 교통정책과 다양한 교통수단 개선정책 발표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통약자의 이동권과 이동 안전에 대한 개선요구는 지속되고 있어 더욱 실효성 있는 교통약자 정책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통약자 중 정상적인 직립보행이 쉽지 않은 지체장애인의 측면에서 다양한 교통수단 중 도시철도의 환승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통약자의 개념과 도시철도 환승과 관련된 법령, 설계지침 그리고 최근의 도시철도 기본계획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교통약자와 도시철도 환승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환승정거장 69개역 중 44개역 58개의 환승경로에 대해 환승시설 현황과 환승에 걸리는 시간 및 거리를 일반인과 교통약자의 측면에서 각각 조사하였다.
회귀모형 구축을 통해 종속변수(교통약자의 도시철도 환승거리)를 가장 잘 설명하는 유의미한 독립변수(영향요인) 및 회귀식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규명하였다. 회귀분석의 경우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종속변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독립변수는 보행통로 수평거리, 휠체어리프트, 엘리베이터 등이었으며, 이들에 대한 유의성 및 다중공선성 검증, 이상치 제거 등의 분석 과정을 거쳐 최적의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고찰, 현황조사, 환승거리 회귀모형 구축과 함께 실제 서울시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목소리를 듣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양한 연령과 성별, 지역의 지체장애가 있는 대상자로 하여금 그들의 도시철도 이용 경험을 토대로 환승목적, 주거지와 주목적지, 환승빈도, 환승횟수, 환승시설별 만족도 등을 살펴보았으며 해당 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최적 환승시간에 대한 기준(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분석 과정을 통해 교통약자 측면의 평면환산거리 모델을 제안하고 도시철도 환승역 환승보행 서비스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을 신규 철도사업 기본계획 수립단계 및 설계단계에서 활용하여 이용자 편의성 측면의 정량적 평가지침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거시적으로는 교통약자의 이동권이 향상되어 일반인들과 함께 편리하게 도시철도 이용이 가능해지고, 차별 또는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을 받지 않는 사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in Korea is close to 30%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ratio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refer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elderly, pregnant women, people with infants and children who feel inconvenience in moving in their daily lives, and social interest in improving their right to move has been growing recently. However,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transportation policies and various transportation improvement policies,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nd implement more effective transportation polici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standards for the transfer of urban railroads among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in term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are not easy to walk upright.
For the study, the concept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laws related to urban railway transfer, design guidelines, and recent cases of urban railway master plans was reviewed, and previous studies on transportation vulnerable and urban railway transfer were analyzed. In addition, 58 transfer routes from 44 stations out of 69 transfer stations operated by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of transfer facilities, the time and distance of transfer,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weak.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gression model, a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affective factor) that best explains the dependent variable (the urban railroad transfer distance of the weak in transportation) was derived, and implications for this were investigated. Regression analysis was verifi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judge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set to a horizontal distance of walking paths, wheelchair lifts, and elevators, and an optimal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nalysis processes such as significance and multicollinearity verification, and outliers removal.
A survey was conducted to hear the voice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using the Seoul Metropolitan Railway, and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using the metropolitan railway, subjects of various ages, genders, and regional retardation were examined.
Through this survey and analysis process, it is hoped that the criteria for proposing a flat transition distance model in terms of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and evaluating the level of transit walking at urban railway stations can be used in the basic plan and design stage of the new railway project.
Macroscopically, we hope that the right to move will be improved to make it a society that conveniently uses urban railroads with the general public and does not receive discrimination or harsh attention from people just because of the weak.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