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산업의 R&D 투자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R&D investment efficiency in regional industries : Focusing on Daeje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1-133(1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대전지역 주력산업의 R&D 효율성을 평가하고, 지역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포락분석(DEA)과 Malmquist 생산성지수(MPI) 분석을 활용하여,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대전 주력산업 16개 DMU(Decision-Making Units)에 대한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DEA 분석 결과, 연구산업(`13-`14년), 바이오산업(`13-`14년), 금속산업(`15-`17년) 등은 자원 활용의 최적화를 이루어 높은 효율성을 나타냈다. 이는 연구개발 활동에서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산출을 극대화했음을 의미한다. 반면, 지식산업(`13-`14년), 무선통신산업(`15-`17년) 등 일부 산업군은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성을 기록하며, 자원의 비효율적 활용과 운영 전략의 개선이 필요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규모효율성(SE) 분석에서는 일부 산업군이 최적 규모에서 운영되지 않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Malmquist 생산성지수(MPI) 분석을 통해 시간에 따른 생산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 기술적 진보와 기술적 효율성의 변화가 산업별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시계열에 따른 효율성 변화는 70.96%(`13-`14년) → 70.31%(`15-`17년) → 68.59%(`18-`20년) → 76.57%(`21-`22년) 분석되었고 10년에 걸쳐 개선이 가능한 R&D의 총투자 효율성은 28.38%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D efficienc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s regional industries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al industries. To achieve thi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hanges of 16 Decision-Making Units (DMUs) in Daejeon’s key industries from 2013 to 2022.
The DEA analysis revealed that certain industry groups, such as the Research Industry (2013-2014), Bio Industry (2013-2014), and Metal Industry (2015-2017), demonstrated high efficiency by optimizing resource utilization. These industries were found to effectively maximize outputs by efficiently using resources in their R&D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ome industries, such as the Knowledge Industry (2013-2014)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dustry (2015-2017), recorded relatively low efficiency,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resource utilization and operational strategies. The Scale Efficiency (SE) analysis showed that some industries were not operating at an optimal scale. Furthermore, the MPI analysis, which evaluated productivity changes over time, confirmed that technological progress and changes in technical efficiency significantly impacted industry-specific productivity. Efficiency changes over time were recorded as 70.96% (13-'14), 70.317% (15-'17), 68.59% (18-'20), and 76.57% (`21-'22), with a 28.38% improvement potential over ten year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